가파르게 늘어나는 ‘1인가구’…생애주기별 대책 시급

2018-01-03 14:46
1인가구 비중 10년 전보다 9.5%p 상승
50대 이상 취약계층 사각지대…대응방안 절실

최근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며 경제 흐름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애주기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인 가구는 30대부터 70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연령대별로 소비패턴, 성향 등이 제각각이다. 다만 50대 이상의 경우, 소득불균형으로 인해 노인빈곤이 심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새로운 취약계층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5.5%로, 10년 전인 2006년 16.0%에 비해 9.5%p 상승했다.

1인 가구 규모는 △초혼연령 상승 △이혼 증가 △고령화 진전에 따라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30대 1인 가구는 높은 소비성향으로 인해 새로운 경제 트렌드를 선도하는 그룹으로 형성되는 모양새다.

30대 1인 가구는 △미혼 △화이트칼라 △고학력 △고소득이 주류라는 점도 눈에 띈다.

반면 1인 가구의 3명 당 1명은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취약계층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는 이유다. 50대 이상으로 확대하면 1인 가구 대부분이 정년퇴직 등에 따른 고용불안정으로 소득수준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30대를 제외한 1인 가구 직업은 상용직(38.1%)보다 임시‧일용직(41.4%) 종사자가 더 많다. 고용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특히 50대 1인가구는 임시‧일용직 비중이 41.0%나 된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 증가가 한국경제의 주거문화와 경제소비 방식을 변화시키는 요인이라며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30~40대의 경우 전체 소비시장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주도적 역할을 한다.

실제 30~40대 1인 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주거비·식료품·보건 등 필수재 소비비중이 높아, 경기침체 등으로 소득 증가세가 둔화돼도 소비가 크게 둔화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충분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비를 확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기은퇴 △교육비 증가 △가계부채 등으로 노후를 충분히 대비하지 못한 고령층은 소비를 줄이면서 빈곤층으로 전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인구‧경제적 특성을 바탕으로 1인 가구를 △30대 엘리트 싱글 △50대 불안한 독신 △60대 이상 빈곤한 독거노인으로 구분해 적절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현희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30대의 경우 1인 가구 중 가장 소득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전 연령층 중 유일하게 다인가구에 비해 균등화소득이 높다”며 “그러나 1인 가구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50대부터 고용의 질이 열악해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1인 가구 특성이 연령대별로 다른 점을 감안,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노인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50대의 경우에는 소득과 고용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선제적 정책대응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