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양균, “한국경제에 경제자유 증진과 사회안전망 확충 동시추진 개혁 절실”
2017-11-22 14:38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 장관 등 '한국 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안' IMF통해 제안
경제적 자유의 증진과 사회안전망의 확충 동시 추진으로 패러다임 전환 가능해
경제적 자유의 증진과 사회안전망의 확충 동시 추진으로 패러다임 전환 가능해
한국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 경제자유 증진과 사회안전망 확충을 동시에 추진하는 개혁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 장관을 비롯해 최광해 전 국제통화기금(IMF) 대리이사, 최희남 현 IMF 이사, 김준일 IMF 조사국 고문은 공동으로 21일(현지시간) IMF 홈페이지에서 '한국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안'이라는 제목의 워킹 페이퍼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에 목표로 둔 패러다임의 전면 전환을 제시했다.
변 전 장관 등은 워킹 페이퍼에서 “2000년대 이후 저성장과 양극화의 악순환에 빠져 있는 한국경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소득 불균형을 완화해야 하는 과제에 맞춰졌다”며 “다만 이해당사자 간 합의를 통한 구조개혁 방안의 도출이 어려운 것은 성장중심 논리와 분배우선 논리가 충돌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충돌하는 논리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경제적 자유의 증진과 사회안전망의 확충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변 전 장관은 경제적 자유의 증진을 통해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최우선 구조개혁 과제로, 노동시장 개혁과 금융 개혁을 꼽았다.
세부적으로 △노동계약의 경직성과 정규직·비정규직 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 △종신고용 관행 탈피 △금융규제 틀의 네거티브 시스템으로의 전환 △산업은행의 창업기업 지원 역할 강화 등 방안이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요인으로 제시됐다.
뿐만 아니라 노동과 금융부문 이외의 구조개혁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워킹 페이퍼에서는 지방과의 격차 확대라는 부작용 완화를 위해 수도권 개발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타 지역과 공유하는 방안과 이민자의 적극적인 수용도 제시됐다.
변 전 장관은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해 실험보험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강조하며 실업급여의 소득대체율을 상향 조정하고, 지급 기간을 18개월까지 연장할 것을 주장했다.
이밖에 △장기공공 임대주택 공급의 확대 △아동수당 도입 △고교 무상교육 실시 등 사회계층간 이동성을 높이는 방안은 물론, 재정지출 확대 등도 현 상황을 타계할 대안으로 제시했다.
변 전 장관은 “정부는 거시경제 여건과 구조 개혁의 진전에 따라 소비지출과 세금인상의 유연성을 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광해 전 이사 역시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을 경제정책의 두 바퀴로 삼는 한국 정부의 정책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 논문은 IMF 아시아태평양국 등의 리뷰를 거쳤고, 제안된 정책 대안은 한국과 유사한 국가의 정책자문을 할 때 IMF가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 장관을 비롯해 최광해 전 국제통화기금(IMF) 대리이사, 최희남 현 IMF 이사, 김준일 IMF 조사국 고문은 공동으로 21일(현지시간) IMF 홈페이지에서 '한국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안'이라는 제목의 워킹 페이퍼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에 목표로 둔 패러다임의 전면 전환을 제시했다.
변 전 장관 등은 워킹 페이퍼에서 “2000년대 이후 저성장과 양극화의 악순환에 빠져 있는 한국경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소득 불균형을 완화해야 하는 과제에 맞춰졌다”며 “다만 이해당사자 간 합의를 통한 구조개혁 방안의 도출이 어려운 것은 성장중심 논리와 분배우선 논리가 충돌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충돌하는 논리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경제적 자유의 증진과 사회안전망의 확충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변 전 장관은 경제적 자유의 증진을 통해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최우선 구조개혁 과제로, 노동시장 개혁과 금융 개혁을 꼽았다.
세부적으로 △노동계약의 경직성과 정규직·비정규직 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 △종신고용 관행 탈피 △금융규제 틀의 네거티브 시스템으로의 전환 △산업은행의 창업기업 지원 역할 강화 등 방안이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요인으로 제시됐다.
뿐만 아니라 노동과 금융부문 이외의 구조개혁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워킹 페이퍼에서는 지방과의 격차 확대라는 부작용 완화를 위해 수도권 개발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타 지역과 공유하는 방안과 이민자의 적극적인 수용도 제시됐다.
변 전 장관은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해 실험보험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강조하며 실업급여의 소득대체율을 상향 조정하고, 지급 기간을 18개월까지 연장할 것을 주장했다.
이밖에 △장기공공 임대주택 공급의 확대 △아동수당 도입 △고교 무상교육 실시 등 사회계층간 이동성을 높이는 방안은 물론, 재정지출 확대 등도 현 상황을 타계할 대안으로 제시했다.
변 전 장관은 “정부는 거시경제 여건과 구조 개혁의 진전에 따라 소비지출과 세금인상의 유연성을 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광해 전 이사 역시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을 경제정책의 두 바퀴로 삼는 한국 정부의 정책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 논문은 IMF 아시아태평양국 등의 리뷰를 거쳤고, 제안된 정책 대안은 한국과 유사한 국가의 정책자문을 할 때 IMF가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