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기획-超갈등사회 고리를 풀자] 지자체는 '케이블카=대박' 이라지만…

2017-11-06 00:00
사업 시행 뒤 적자 허덕여 애물단지 전락

여수 오동도 해상케이블카. [사진=기수정 기자]


가원 양양군이 추진하는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최근 지자체 케이블카 사업 열기가 얼마나 뜨거운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케이블카는 이미 수많은 지역에서 사업을 구상하거나 운영할 정도로 대표 관광상품이 됐다. 케이블카는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지역에 상당한 수익을 가져다주는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지자체의 케이블카 사업의 본격적인 유행은 2008년 4월 설치된 통영 미륵산 한려수도조망 케이블카가 성공 사례로 조명 받으면서 시작됐다. 이후 여수 오동도 해상케이블카 등이 차례로 성공하면서 케이블카 사업은 지역의 수익 ‘보증수표’로 인식됐다.

그러나 막대한 초기비용이 드는데다 선거용 정책이라는 비난도 쏟아지고 있다. 몇 년간 사업을 추진하다 승인 지연 등으로 예산만 낭비한 사례도 즐비하다. 관광수입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난개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전국 지자체가 추진 중인 케이블카 사업은 약 30건이 넘는다. 이 가운데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18개 시‧군 중 8곳이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 들었다.

밀양 얼음골케이블카에 이어 내년 3월에는 사천 바다케이블카가 가동된다. 2015년부터 논의된 산청~함양 지리산케이블카 사업은 경남도가 제출한 신청서가 환경부에서 반려되면서 주춤해진 상태에 있다. 경남지역 케이블카 사업은 추진 단계에서부터 환경 훼손, 수익성 부족 등 논란으로 지역 내에서 갈등을 겪었다.

경남뿐만이 아니다. 전남 여수 경도와 목포, 강원 삼척, 부산 해운대와 송도, 전남 진도 울돌목, 울산 강동(오션 케이블카), 경남 사천(바다 케이블카) 등이 현재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검토 중이다.

그런데 케이블카 사업에서 성공을 거둔 곳은 통영과 여수 등 소수에 불과하다. 지자체가 확실한 수익성을 검증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사업을 강행한 탓에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밀양 얼음골 케이블카를 포함한 대부분의 관광용 케이블카는 겨우 수지를 맞추는 수준이다. 케이블카 사업은 수익성이 떨어질 경우 철거비용도 만만치 않아 흉물로 방치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지자체 간 중복‧과잉 경쟁으로 치닫다 보니 케이블카 사업을 차별화된 관광전략으로 볼 수 없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2000년대 초 지역축제가 우후죽순으로 생긴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지적한다. 지자체가 지역 특색을 강조하지 못하고 쉬운 수익 구조만 찾는 결과라는 얘기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최근 케이블카 사업은 1999년 함평 나비축제가 성공을 거두자 곳곳에서 지역축제가 들불처럼 번진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며 “지역축제도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모두 사업성 부실로 뭇매를 맞았다. 케이블카 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수반되는 만큼 더 신중한 논의와 지역 합의를 기반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