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올려 최대 실적 올린 은행, 당국 경고도 무시
2017-11-01 14:44
은행업권이 실적 잔치를 벌이고 있다.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 차이 덕분이다. 대출 규제로 영업환경은 악화됐지만 금리인상 덕분에 이익은 개선됐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IBK기업은행 등 5대 은행은 올해 1~3분기 7조434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29% 증가한 규모다.
비결은 이자 장사다. 예금금리 인상에는 소극적인 반면 대출금리는 선제적으로 올리는 방식의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대까지 치솟았다. 반면 올해 주요 예금상품 금리는 1%대를 유지하고 있다. 인터넷은행의 등장으로 잠시 예·적금 상품의 금리가 오르긴 했지만 일회성에 그쳤다.
상황이 이렇자 당국은 구두경고에 나섰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과 만나 "과도한 대출금리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도 "합리적 이유 없이 가산금리를 인상하면 사회적 비난에 직면할수 있다"며 "은행들 대출금리 산정체계를 점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자에 기반한 영업을 하고 있는 은행들은 향후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이익이 더 개선될 전망이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로 대출 규모 자체는 줄겠지만 금리 인상이 이를 일부 상쇄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인상의 수혜를 보는 건 은행 뿐이다. 은행들이 금리에 기반해 배를 불리는 가운데 차주들의 상환부담은 더 커졌다. 앞으로 대출을 받아야 할 차주들도 대출 시기를 저울질하느라 여념없다. 서울 압구정동에 사는 박모(55) 씨는 "금리인상에 접어들면서 현재의 주담대 금리가 가장 낮은 수준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며 "언제 대출을 받는 게 유리할지 은행과 눈치싸움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금융권도 마찬가지다.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운용하는 보험, 카드, 증권회사 등 비은행기관의 경영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2013~2016년 시장금리 하락기에 채권을 대량 매입한 보험사는 시장금리가 0.50%포인트 오를 경우 채권평가손실 규모가 9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카드사는 취약계층 수요가 많은 고금리 카드론의 상환이 어려워져 부실화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 카드대출 중 카드론 비중은 80.3%에 달한다. 증권사 역시 금리상승 시 우발채무 보증 문제가 불거질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