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식 쌍용차 사장 "배출가스 절감에 150억원 조기 투입"

2017-09-28 13:47
환경부·車업계, ‘자동차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 참석
경유차 규제 강화로 지난해 영업이익 절반 이상의 투자要...부담감 토로
2019년께 도입하는 ‘유로6D’ 경유차 배출 규제 강화로 400억원 투자
“미래를 위한 투자 계속해야하지만, 비용과 시간 맞춰나가는 것 어려워”

최종식 쌍용자동차 사장


쌍용자동차가 정부의 배출오염물질 절감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 150억원 자금을 조기 투자한다.

최종식 쌍용자동차 사장은 28일 서울 중구 LW컨벤션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자동차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에서 기자와 만나 “2019년께 도입하는 ‘유로6D’ 규제에 400억원 정도 든다”면서 “(질소산화물을 감축하는데) 150억원 정도를 조기 투입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로6D 규제는 현행 경유차 배출가스 기준인 ‘유로6’보다 열 배 이상 까다로워지는 규제로 내년부터 유럽에서 시행된다. 국내는 2019년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차가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조기 투입하는 150억원은 지난해 영업이익 280억원의 절반 이상 해당하는 금액이다.

최 사장은 경유차 규제 강화로 인한 실적영향과 관련, “굉장히 큰 부담”이라며 “쌍용차에 끼치는 영향이 많아 걱정이 크다”라고 토로했다.

또 배출가스오염물질 저감에 대한 큰 틀은 동의하면서도 규제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미래에 대한 투자니깐 계속 해야한다”면서도 “유럽 규제가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이후에 국내에 급박하게 적용되고 있어 비(非)유럽업체쪽에서는 비용과 시간을 맞춰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유차 규제 강화로 비용은 들어가지만, 정부와 적극 협력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최 사장은 “환경부와 긴밀히 공조해서 새롭게 도입되는 강화된 실내시험방식(WLTP)의 기존모델 일부 유예했다”며 “150억원 조기 투입해서 일단 (질소산화물 감축을) 맞출 수 있게 됐다. 비용이 들어가지만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환경부는 9월 1일부터 디젤차에 대한 배출가스 규제를 실도로 배출허용기준(RDE)을 포함한 국제표준시험방식(WLTP)으로 변경하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시행하기로 했지만, 1년간 유예한 바 있다. 새 기준에 맞게 변경하려면 엔진과 배기 장치 등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하고 쌍용차, 르노삼성차 등 소규모 업체는 새 기준에 대응할 물리적 시간과 자금이 부족하다는 업계의 이야기를 반영했다.

이날 자동차의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환경부와 협약에 따라 쌍용자동차는 2019년 9월부터 시행되는 실도로 인증기준(RDE-LDV)을 차종별로 3∼12개월 단축해 적용한다. RDE-LDV는 실외도로주행 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실내주행의 약 2배로 제한하는 실외도로주행 측정기준이다.

경유차가 실도로 인증기준을 준수하면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현재의 5분의 1 수준인 0.168g/㎞ 이내로 감소한다.

환경부는 이러한 자발적 저감을 통해 1년 동안 쌍용차는 140t의 질소산화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