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①] 김강우 “‘써클’, 한국형 SF드라마 쉽진 않아…배우들도 시대에 맞춰 변해야”
2017-07-05 00:00
김아름 기자 = 어떤 배우를 떠올렸을 때 그려지는 이미지가 있다는 건 축복받은 일이다. 물론, 다채로운 연기를 통해 어떤 색채의 옷을 입더라도 자신인 것처럼 소화하는 배우 역시 매력적이다. 하지만, 자신의 강점을 알고 그 강점을 다양한 매력으로 색칠한다는 것 또한 굉장히 즐거운 일이다. 김강우는 그런 배우다. 매번 비슷한 캐릭터를 연기하는 듯 하지만, 사실은 늘 다르다. 그래서 신선하고 매 작품이 기대되는 배우다.
진중하고 묵묵한 매력의 김강우를 지난달 30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tvN 드라마 ‘써클: 이어진 두 세계’(이하 ‘써클’) 종영 뒤 만난 그의 얼굴에서는 묘한 아쉬움과 홀가분함이 교차했다. 다소 핼쑥했던 그는 “드라마 끝나고 좀 쉬었나”라는 질문에 “영화 촬영을 바로 하고 있어서 못 쉬었어요. 이번주 계속 촬영했습니다”라고 웃었다. 그럼에도 ‘써클’에 대한 애정은 남달랐다.
“좀 더 했으면 싶었어요. 12부작이라 그런것도 있고, 재미있게 찍어서 그런지 5~6부만만 더 찍어도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런 아쉬움이 조금 있어요.(웃음) 한 회 한 회가 저 역시도 궁금했거든요. 12부 마지막이 친절하게 끝난 거 아닌가 싶기도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렇게 마무리 된게 맞는 것 같아요.”
사실 ‘써클’은 그리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지는 못한 채 종영했다. 마지막회에서는 평균 시청률보다 높게 나왔지만,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생소한 장르였기에 이해한다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고 생소한 장르를 처음 접할 때, 반신반의했던 당시를 떠올렸다.
“이런 장르를 어떻게 구현할지, 영화도 아니고 시간도 별로 없어서 반신반의 했었죠. 제가 작업했던 것에 비추어 봤을 때 CG는 시간대비 효과가 나오는 거잖아요. 그래서 사실 될가 싶었죠. CG분량만 찍어서 넘겨야 할텐데...그런데 정말 제작진 분들이 영리하다고 느꼈어요. 초반에 어쩔 수 없이 세계관을 만들려고 그런 것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지만 나중엔 스토리로 풀어 갔으니까요. 그래서 지금 시청해주시는 분들이 진골 시청자 분들인 것 같아요. 그런 걸 무시하더라도 따라오시는 시청자분들이 계시죠. 사실 저도 방송 촬영 때문에 못 보고 넘어가면 다음에 이해 안 가는 게 있긴 했어요. 파트2에 나오다 보니 파트1이 이해 안갈 수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일반 시청자들의 중간 투입이 힘들 거라곤 생각했어요. 그래서 시청률이 다소 낮을 수 있었던 것도 이해하고요.(웃음)”
‘써클’은 매 회마다 놀랄만한 반전으로 쫄깃한 스토리 전개로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자극했다. 특히 휴먼비에 대한 반전은 모두를 놀라게 했다. 배우들 역시 정체를 모르고 촬영에 임했단다.
“일부러 감독님께서 안 가르쳐주신 것도 있었어요. 한상진 형만 캐스팅 전부터 교감이 있었더라고요.(웃음) 알면 재미없을 거라 생각하셨나봐요. 그런데 드라마 찍으면서 다음 대본이 정말 궁금했던 것 같아요. 저 역시 그랬고, 스탭들도 그랬고요. 그게 이 드라마의 생명이었던 것 같아요.”
예상할 수 없는 거듭된 반전이 ‘써클’의 묘미였다. 김강우는 마지막회 엔딩 장면이 가장 놀라운 반전이었다고 꼽았다.
“마지막 클로즈업 장면이 좀 놀라운 반전이었어요. 또 극중 김우진(여진구 분)이 늙지 않았던거랑요. 또 4부 엔딩에 제가 범균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재밌는 반전이었습니다. 아마 그때부터 보시는 분들이 재미를 느끼시지 않았을까 싶어요. 다 아니라고 생각하셨을 테니까요.(웃음)”
‘써클’은 시청률과는 별개로 한국형 SF드라마라는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종영했다. 물론, 최초의 시도다보니 기술적인 면에서 많은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SF 드라마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 김강우 역시 과거 어린이 뮤지컬을 제작한 제작자로서 향후 국내 SF 드라마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했다.
“제가 가장 놀랐던 부분은 거부감 없이 그런 부분들을 받아들였다는 거였어요. 사실 몇 년 전만 해도 타임슬립 드라마가 나왔을 때 허무맹랑하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잖아요. 하지만 지금은 타임슬립이 하나의 장르로 마들어질 정도로 활성화 됐죠. 그렇게 잔펀치를 계속 날리다 보면 분명히 될 수밖에 없을거에요. 지금도 복제인간, AI, 인공지능 등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나오고 있잖아요. 그게 알파고의 영향도 컸던 것 같아요. 현실로 다가온 느낌이었거든요. 저 역시 그렇고요. 배우 입장에서는 그런 것들이 좋아요. 소재가 많아지고 꺼리가 많아지는 건, 작가님들 입장에서도 상상할 거리가 많아진다는 거니까요.”
그리고 배우들 역시 변해가는 사회 현상과 트렌드에 맞춰가야 한다고 소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산업이 그렇게 바뀌어 가면 배우도 그런 부분에 당연히 맞춰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표현에 대해 연습도 더 하고 연기를 처음 배울 땐 상상력 연습도 많이 했잖아요. 우리나라는 리얼리티가 좋은 연기라 생각해요. 그런데 이제 앞으로 나올 영화나 드라마 보시면 완전 바뀔거 같아요. 저도 먹고 살려면 그런 현상들에 맞춰야 하지 않을까요.(웃음)”
※ [인터뷰②]로 이어집니다.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