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 2만7561달러… 10년째 못넘은 3만달러(종합)

2017-03-28 11:20

[표=한국은행 제공]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000달러로 10년째 3만 달러를 넘어서지 못했다. 작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2.8% 성장했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561달러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3198만4000원으로 4.0% 늘었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원화가 미국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 환산액이 적게 늘어 달러 기준 증가율이 1.4%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1인당 GNI는 지난 2006년 2만823달러로 2만 달러를 넘어선 이후 10년째 3만 달러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1인당 GNI 3만 달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기준으로 여겨진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보통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다만 정부·기업·가계의 소득을 합친 것으로, 실제 가계소득 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632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1814만원으로 3.5% 늘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1632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하지만 가계 비중이 줄어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 가운데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소득은 929조6000억원으로 56.9%를 차지했다. 이는 2015년 57.2%보다 0.3%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기업소득 비중도 20.0%로 전년보다 0.8%포인트 내렸다. 기업소득에는 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도 포함된다.

반면 정부소득 비중은 23.1%(376조8000억원)로 세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1.1%포인트 올랐다.

정규일 국장은 "지난해 세수 호조로 정부 소득의 비중이 커졌지만 가계는 순이자소득이 줄고 기업은 영업이익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비중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작년 실질 GDP 성장률은 2.8%로 나타났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상향조정됐다. 분기별로는 작년 1분기 0.5%에서 2분기 0.9%로 올랐다가 3분기와 4분기 각각 0.5%를 기록했다.

연간 GDP 증가율(실질 기준)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은 2.3%로 전년(1.8%)에 비해 증가율이 상승했다. 건설업은 2015년 5.7%에서 2016년 10.5%로 두 배 가깝게 뛰었다.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2.8%에서 2.3%로 낮아졌다.

지난해 민간소비는 2.5% 늘어 2015년(2.2%)보다 소폭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4.3%로 2015년(3.0%) 대비 확대됐다. 

2015년 마이너스를 기록한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은 작년 2.1%로 전환됐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가계순저축률은 8.1%로 2015년과 같았다.

국내 총투자율은 29.3%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올랐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키는 노동소득분배율은 64.0%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1.8%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