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10일만에 소 1400마리 살처분…"가축질병 방역체계부터 뜯어고쳐야"
2017-02-15 14:39
해마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등 가축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근원적인 해결책을 세워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까지 전국에서 도살 처분된 소는 21개 농장 1425마리에 달했다.
이 중 젖소는 428마리, 한·육우는 997마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충북 보은이 986마리로 가장 많았고, 전북 정읍 339마리, 경기 연천 100마리 등이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피해가 심한 보은지역에 대해 민관군 전문가를 투입해 타 지역으로의 확산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읍면 산업계장을 대상으로 긴급 방역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구제역 전파 통로로 의심되는 25번 국도의 경우, 소독과 통제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차단방역을 위한 조직과 인력을 늘리고, 농가의 방역과 백신 접종 등에 대한 관리도 철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정부의 가축방역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류영수 건국대학교 교수는 "구제역이 계속 발생하는 이유는 축산 규모가 커졌지만, 정부가 가축방역 전반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라며 "가축·동물 질병을 총괄하는 정부 실무 책임자가 농식품부 방역총괄과장인데, 과장급이 예산과 인력에 대해 발언권을 갖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농민들은 방역과 접종에, 정부는 방역인력 확충에 신경써야 한다"며 "행정시스템이 중앙집권제에서 지방자치제로 바뀌며 지방에 가축방역 전담 인력이 없어졌다"고 지적했다.
구제역 차단은 철저한 외부 유입차단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농장주 및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농장 인력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교육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신영 충북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구제역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중국, 동남아 등과 가까이 있다"며 "여행객, 노동자, 다문화가정 등 교류가 많아진 만큼 바이러스가 유입될 확률이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백신 정책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번 구제역 사태에서는 정부 발표와 달리 항체 형성률이 크게 떨어지는 농가가 확인됐다. 항체 형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하며 '물백신' 논란도 불거졌다.
채찬희 서울대 교수는 "표본조사를 제대로 하고, 접종방법도 표준화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일은 정부가 한국형 백신 개발에 나서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