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發 환율전쟁…자동차·철강 등 제조업 바짝 긴장

2017-02-02 15:53
환율조작국 지정 땐 타격 불가피…환율하락 방어 준비해야
삼성·현대·LG 등 대기업들 수출 타격 셈법에 골머리
환율조작국 지정, 정부와 전문가간 입장 엇갈려

[그래픽=김효곤 기자]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전세계가 미국발(發) 환율전쟁으로 요동치고 있다. 공격적인 환율정책을 앞세운 트럼프 정부의 광폭 행보에 국내 대기업과 금융시장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한국경제도 환율전쟁에서 자유롭지 않다. 이미 미국에서 중국과 일본, 독일을 환율조작국으로 타깃으로 삼은 만큼 간접영향권에 들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전선이 조금씩 회복되는 시점에 환율하락 등이 올 경우, 겨우 다잡은 수출회복 온기를 빼앗길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정부 들어 3년 연속 2%대 저성장 기조에 들어서고, 올해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점을 볼 때 외환보유고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제기된다.

다만 외환개입에 따른 외환보유고 감소가 국가 신용도 하락 등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가 섣불리 카드를 꺼내들지 미지수다.

자동차·철강 등 대미 주력 수출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환율조작국 지정이 임박하며 환율 변동 등을 예의주시하며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특히 자동차 부문은 트럼프의 환율조작 비판이 중국, 일본, 독일에 그치지 않고 한국까지 포함할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기업 가격경쟁력과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환율이 상승하면 반대 양상을 띈다.

환율이 10원 하락하면 국내 완성차 5개사 연간 수출 매출액이 4000억원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제시된 바 있다.

당장 현대·기아차는 미국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현대차는 전체 수출의 33.2%인 33만5762대, 기아차는 전체 수출의 30.6%인 33만2470대를 미국에 팔았다.

자동차뿐만 아니다. 환율 하락세가 장기화될 경우 수출 상승세를 주도해 온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부품 사업에서 전 분기 대비 약 3000억원 환율 효과를 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도 달러가 10원 상승하면 월 80억원의 플러스 효과가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철강업계는 일부 국가 환율에 대한 트럼프 불신이 관세보복이나 수입제한과 같은 조치로 이어질가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원·달러 환율이 11.3원 내린 1,146.8원으로 장을 마감한 2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연합뉴스]


가뜩이나 지난해 미국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최고 60%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상태여서 환율조작국 불이익이 현실로 나타날 가능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하반기에 개시되는 도금, 냉연, 열연 제품 연례 재심에서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철강제품 수출에 미칠 타격을 최소화하고자 고부가가치 제품을 바탕으로 한 판매 확대 전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 정부와 전문가 사이에 시각이 엇갈린다. 정부는 가능성은 주시하고 있지만, 여러 정황상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요건이 안된다고 낙관한다.

미국 재무부는 대미 무역수지(200억 달러), 경상수지(국내총생산(GDP) 대비 +3%), 외환시장 개입(GDP 대비 +2%) 등 3개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환율조작국으로, 2개 기준을 초과한 경우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대미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요건에 해당돼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상태다.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았다는 부분이 정부가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이유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기준이 3가지 있는데 우리는 2가지에만 걸리고, 나머지 하나는 절대 하지 않고 있다”며 “미국이 정한 규칙대로 하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없다고 본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너무 안이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은 환율조작국 지정 요건중 1개만 포함된 상황임에도 미국의 압박이 거세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환율 압박이 우리나라로 번질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미국의 압력은) 중국이 타깃인데, 특정국가만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 국제적 비난이 불가피해 한국을 끼워 놓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