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가 꼽은 적정 구직기간 ‘신입 13.2개월, 경력 7.5개월’

2017-01-31 15:49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구직자가 생각하는 안정되게 구직에 성공할 수 있는 적정 구직기간은 신입직을 기준 13.2개월, 경력직은 7.5개월로 나타났다.

31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아르바이트포털 알바몬과 함께 구직자 17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구직자들에게 안정되게 취업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적정 구직기간(개방형)을 물은 결과 △신입직 구직자는 평균 13.2개월, △경력직 구직자는 평균 7.5개월로 나타났다. 늦어도 최장 이 기간 내에는 취업이 완료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구직기간 마지노선은 이보다 평균 8개월 가량 더 길게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 구직자의 구직 마지노선은 21.9개월로 나타났으며, △경력직 구직자는 평균 13.9개월까지를 구직기간의 마지노선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구직자들은 특히 이력서 상에 일정기간 이상 공백이 생기는 것이 취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잡코리아-알바몬 설문조사에 참여한 구직자의 82.2%가 ‘일정 기간 이상 직업이 없는 무직자의 상태로 있는 것이 취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불안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실제로 직업이 없는 상태로 구직하지 않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무직 상태로 구직하지 않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살펴보면 ‘알바, 비정규직으로라도 일단 일을 시작해서 공백을 없앴다’는 응답이 43.8%로 두드러지게 높았다. 이어 ‘휴학을 하거나 졸업 유예를 선택하는 등 졸업시기를 미뤘다’는 응답도 20.0%로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도 ‘학원수강 등 공백기를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이유를 만들었다(11.2%)’, ‘원하는 직장에 취업될 때까지 일단 되는 데라도 다녔다(5.4%)’, ‘이직할 곳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퇴사하지 않았다(4.3%)’, ‘인턴으로 입사해 구직을 위한 시간을 벌었다(3.9%)’, ‘대학원 진학 등 학교에 적을 뒀다(2.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반면 ‘딱히 노력한 것이 없다’는 응답은 8.0%에 그쳤다.

한편 많은 구직자들이 취업을 위해서라면 비정규직도 불사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연봉과 직무만큼은 양보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잡코리아가 ‘취업만 된다면 나는?’을 주제로 던진 질문에 61.1%의 구직자가 ‘취업만 된다면 비정규직으로도 일할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취업만 된다면 연봉, 회사규모 등 근무조건은 충분히 양보·협의할 수 있다’는 응답은 48.0%를 얻는 데 그쳤다. 특히 ‘취업만 된다면 내가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이 아니어도 된다’는 응답은 41.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 이재학 소장은 “취업난이 장기화되고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정규직으로 안정되게 오래 일하는 것 보다는 내가 원하는 직무를 중심으로 희망하는 근무조건을 맞춰 취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