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폐자원을 에너지로 만드는 구리 촉매 제조 기술 개발

2017-01-23 12:00

[사진= 한국연구재단]

아주경제 권지예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국내 연구팀이 청정에너지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정대운 창원대 교수 연구팀이 종이, 비닐, 플라스틱 등 버려지는 자원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구리 촉매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품질화연료전환 공정에 높은 전환 효율을 보이는 구리와 세륨, 알루미늄이 주성분인 촉매에 주목했다. 구리는 활성은 높으나 고온에서 스스로 뭉치는 특성이 있어 빠르게 비활성화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은 구리-알루미늄 제조 후에 세륨이 구리 표면을 덮도록 설계함으로써 스스로 뭉치는 구리의 특성을 억제시켜 단점을 보완해 기존 촉매보다 활성과 처리용량을 높였다.

정대운 교수는 "이 연구성과는 버려지는 폐자원으로부터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친환경 구리 촉매 제조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구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촉매 제조 기술의 개발은 폐자원 에너지화를 위한 수소, 메탄올, 디메틸에테르(DME) 등과 같은 고품질연료전환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화학공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지난해 12월 15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