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도 뚫지 못한 동산담보의 벽
2017-01-11 18:18
아주경제 임애신 기자 = 2년 전 자동차·농수축산물 등을 담보로 한 동산담보대출에 핀테크 기술이 도입될 뻔 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그 만큼 동산에 대한 관리와 추적이 어렵다는 방증이다.
우리은행과 KT는 지난 2015년 2월 '사물인터넷(IoT) 및 핀테크 사업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IoT 기술을 활용한 애셋 매니지먼트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동산담보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무선통신과 위치기반서비스(GPS) 센서가 탑재된 IoT 단말을 부착해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하는 게 골자다.
당시 우리은행은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의 단점을 보완한 애셋 매니지먼트 대출상품 개발로 동산담보대출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는 은행권 최초의 사물인터넷 기반 핀테크 대출상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양사의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개발이 중단됐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실효성 문제 때문에 아직까지 담보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담보물에 대한 완벽한 통제가 이뤄져야 리스크 관리가 가능한데 기술적으로 완벽한 적용이 쉽지 않아서 중단됐다"고 전했다.
담보대출 관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고기가 상하진 않았는지, 보관 온도가 적합한지 등 담보물에 대한 상태 파악이 가능해야 하다. GPS 기술만으로는 담보물의 위치 파악 수준에만 그친다는 설명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동산담보대출이 부동산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대출 확대라는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은행 입장에서는 농축수산물 등의 담보가 시들지 않았는지, 물량은 맞는지 등을 확인할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무작정 동산담보대출을 확대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향후 핀테크 기술의 본격화로 인해 생물 등 동산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가능한 때가 올 수도 있다"면서 "동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