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동영상] 도시재생 뒤 주민 자립 모색...주민들 "걸림돌 해결돼야"

2016-12-18 13:31
13일 '도시재생 자립방안 모색 토론회'...“서울시 지원 끝난 뒤 주민 자립 방안 강구해야”
익선동 주민, “한옥체험 공간 마련 시 복잡한 용도변경 절차 거쳐야”

서울 종로구 익선동 한옥마을 전경[사진=오진주 기자]


아주경제 오진주 기자 = “한옥 체험을 하는 순간 주거에서 근린생활 시설로 용도변경을 해야 합니다.” (익선동 거주민 A씨)

지난 13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도시재생 자립방안 모색 대 토론회’에서 서울시의 도시재생 지원 이후 주민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걸림돌을 해결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현재 시가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탑 다운 방식’의 도시재생을 넘어 향후 시의 지원이 끊긴 이후에도 주민들이 스스로 도지재생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자립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론에 참여한 여장권 서울시 재생정책과장은 “현재는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과 주민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지만, 공공의 예산을 무한정 지원할 수 없다는 고민에서 출발했다”며 “도시재생 실행 단계에서 자립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수익모델 개발로 주민 주도의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14년 12월 △도시경제기반형 2곳(서울역, 창동·상계)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3곳(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근린재생 일반형 8곳(창신·숭인, 가리봉, 해방촌, 성수1·2가동, 신촌, 암사1동, 장위동, 상도4동) 등 13곳을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했다.

이중 낙원상가 일대 익선동은 최근 한옥 체험을 원하는 관광객들로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종로구 익선동 B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카페를 내기 위해 한옥 매입을 문의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 일대 한옥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3500만원, 임대료는 보증금 3000만~3500만원에 월세 150만~200만원 정도에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엔 세입자가 직접 한옥을 리모델링해 게스트하우스를 차리는 대신 임대료를 저렴하게 내는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한옥마을이 인기를 끌고 있는 익선동의 특성 상 주민들은 관광객을 타깃으로 한 한옥체험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복잡한 용도 변경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걸림돌이 많다고 주장한다. 주거하고 있는 한옥을 체험 시설로 변경하는 경우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를 변경해야 한다. 이날 토론회에 참여한 A씨는 “한옥을 체험하려는 순간 불법이 돼 버린다”며 “대책을 만들어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서울시 관계자는 “주거시설을 한옥 체험 시설로 바꾸는 경우, 어떻게 제한하고 허용할 것인지에 대해 지구단위계획에서 정리하기 위해 고민 중”이라며 “현재 익선동 일대에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고 밝혔다.

여 과장은 이날 “주민이 역량이 갖춰지고 소득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그 지역에 대한 자발적인 투자가 늘어나는 게 재생인데, 시는 지금 거꾸로 주민들의 관심을 받기 위해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법 체계 등을 국토부와 얘기하는 과정에 있다”고도 답했다.

또 이날 토론회에서는 구로구 가리봉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이 “가리봉 주민의 대부분은 중국인 혹은 중국 동포들인데, 이들이 주민협의체 등 도시재생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다”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