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재가동 고집한 아베, 후쿠시마 강진에 부메랑 맞나

2016-11-22 11:49
후쿠시마 강진에 원전 냉각 장치 일시정지해 불안 증폭
아베, '원전 제로' 정책 뒤집고 지난해부터 원전 재가동 시동

[사진=연합/AP]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강진이 일어난 직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냉각장치가 일시 정지했다 재가동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정권이 추진하고 있는 원전 재가동 정책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다시 일 것으로 보인다. 

NHK, 지지통신 등 현지 언론이 22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이날 발생한 지진의 영향으로 후쿠시마 제2원전 3호기 내부에 있는 사용후 핵연료 탱크의 냉각 장치가 일시 정지하고 핵연료를 냉각시키는 수조 내 순환이 멈춘 것으로 파악됐다. 이 핵연료 탱크에는 핵연료 2550여 개가 저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시마 원전을 운행하는 도쿄전력은 "냉각용 펌프가 일지 정지한 상태였지만 오전 8시께 재가동돼 연료 냉각 작업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사용후 핵연료는 방사선 준위가 높고 고열을 발산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방사능 유출을 막으려면 원자로에서 꺼낸 뒤에는 바로 냉각 보관 조치해야 한다.

방사능 유출 우려는 덜었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원전 재가동 정책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촉발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후쿠시마 원전은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지진해일) 영향으로 원자로 3기가 노심융용을 일으키고 원전 건물 다수가 폭발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집권하던 일본 민주당 정권은 2030년대까지 '원전 제로'를 달성한다는 정책을 수립하고 새로운 원전 규제 기준을 마련했다. 그러나 2012년 12월 집권한 자민당 아베 정권은 에너지 정책에서 원전이 꼭 필요하다며 안전이 확인된 원전에 한해 재가동하겠다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꿨다. 지난해부터 순차적으로 원전 재가동을 시작하면서 동일본 대지진 이후 4년 만에 원전 제로 시대를 마감했다. 

지난 6월에는 가동한 지 40년이 넘은 노후 원전인 일본 후쿠이현 소재 다카하마 원전 1·2호기에 대해 20년 연장 운행을 승인해 논란을 일으켰다. 일본의 새로운 원전 규제 기준에 따르면 원전 가동 기간은 원칙적으로 40년으로 제한돼 있다. 다만 안전심사, 공사계획, 연장심사 등 3가지 허가 기준을 충족하면 최장 20년까지 연장할 수 있게 했다. 이에 따라 다카하마 원전 1호기는 가동을 시작한 지 60년을 맞는 2034년 11월까지, 2호기는 2035년 11월까지 운행될 전망이다.

지난 4월 구마모토현 강진에 이어 이번 후쿠시마 강진까지 대규모 지진이 잇따르는 가운데 불안정한 단층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원전 가동 안전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새벽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은 최대 3m 높이의 쓰나미(지진해일)가 우려된다며 광범위한 대피령을 내렸다. 현재 쓰나미 경보는 쓰나미 주의보로 전환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