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비자카드 국부유출 논란] 3. 카드업계 내홍이 수수료 인하 발목잡아

2016-11-17 13:59

 

아주경제 전운 기자 = 국내 카드사들이 해외카드사들의 농간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던 이유는 ‘바람막이’를 해줘야 할 금융당국의 소극적 대응과, 해외 결제시스템에 어쩔 수 없이 의존할 수밖에 없는 절대적 ‘을’이라는 입장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이밖에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에 대해,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카드업계의 내홍’을 꼽는다.

이번에 비자카드가 해외결제 수수료율을 올린 것과 같이 업계에 외풍이 닥쳤을 때, 이에 대응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는 단체나 기업이 사실상 없다는 것이다.

카드사들이 비자카드와 개별적 규약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각 회사별로 대응하는 것이 맞기는 하지만, 짐을 스스로 짊어질 누군가가 없다는 것이 상당수 카드업계 관계자들의 아쉬움이다.

여신금융협회의 역할론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협회가 사실상 업계를 대변하고 이익 추구를 도모해줘야 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카드사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 업계 관계자들은 협회가 역할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같은 시기에서 협회 모 부서장이 회원사들의 기금 집행 관련 비리의혹을 받고 있어 카드사들의 불신이 팽배한 상황이다. 

업계의 공동 현안을 해결할 때마다 기금을 걷어 문제 해결에 앞장섰던 협회가 비리의혹 사건에 휘말리면서, 회원사들의 신뢰는 사실상 바닥을 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자카드의 해외결제 수수료율 인상 등 업계 현안이 생긴다 하더라도, 협회에 어떤 역할을 기대하기는 커녕 사실상 업계 내에 팽배해 있는 불신 때문에 공동 대응은 사실상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결국 카드사별로 각자 대응을 해나가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성공적인 ‘을의 반란’을 기대하기 힘들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수천억원의 국부유출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당국은 눈치를 보며 한발 물러서 있고, 협회는 구심점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며 “업계의 내홍이 계속되는 이상 앞으로도 국내 카드업계는 고전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