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구시보 "북중 우호는 한반도 정세의 중요한 플러스자산"

2016-06-02 09:28

시진핑, 리수용과 면담 [신화사 홈페이지 캡쳐]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環球時報)가 2일 북·중 양국이 정상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북핵 문제 해결을 촉진하고 동북아 평화를 수호하는 플러스자산(正資産)이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날 사설을 게재해 북한의 제4차 핵실험 발사 이후 북·중 관계가 냉각기로 접어들고 중국이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에 동참한 상황에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중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고 전했다.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의 입장을 견지하고 안보리의 대북제재에 동참할 것이라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상황에서 양국간 갈등은 계속에서 이어질 것이며 양국 관계를 얽맬 것이라고도 전했다.

다른 한편으로 북·중 양국은 이미 북핵 문제를 둘러싼 중대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적응한 것 같다며 양국은 서로 충동적이지 않고 핵 갈등이 확대되지 않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국제사회에는 북·중 양국간 대립을 격화시키도록 부추기는 세력이 많다며 이는 북중 양국에 모두 불리하다고 전했다.  이번 리수용 부위원장의 방중도 북·중 양국 모두 이성적으로 이러한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설은 북·중이 정상적·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북핵 문제 해결을 촉진하고 동북아 평화를 추진하는 플러스 자산이라며, 이는 미국·일본·한국 등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점차 인정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은 북한의 대화정보 소통의 중요한 통로로 정세가 어려울 때 중국이 각국과 벌인 외교적 중재는 정세를 완화시키는 희망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사설은 중국은 마술사가 아니라며, 한·미 양국과 북한간 상호 적대감이 나날이 깊어지는 상황 아래서 한반도의 독을 제거할 해독제가 중국의 손에도 없다고 토로했다. 

한·미 양국은 중국이 북한에 압력 가하고,  심지어 북한의 비핵화 실현을 위해 중국이 모든 책임을 지길 원하고 있지만, 이는 이기적인 생각이라고도 꼬집었다. 중국은 이미 노력을 기울였고,  북·중관계에 있어서 어느 정도 손실의 대가도 치렀다는 것.  그런데도 한·미 양국은 사드 협상을 벌여 직접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미 양국과 북한간 긴장국면이 장기간 이어지는 상황에서 중국의 역할은 각국의 존중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전했다.

사설은 누구든 중국이 어느 편에 서라고 요구하는 것은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한 진정한 이익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북핵 문제를 해결할 능력은 없지만 정세가 폭발하지 않도록 하는 주요한 균형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전략적 사심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각국이 장기적으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방안을 받아들이길 원하며, 이는 결국 한반도 문제에 관련된 각국의 최대공약수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