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림의 머니테크] 환율관찰국 지정에 맞춰 투자해야

2016-05-08 06:00

 

윤기림 리치빌재무컨설팅 대표 

미국 재무부는 최근 '주요 교역국 환율정책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독일, 대만을 환율조작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했다. 앞서 2월에 발효된 미 교역촉진법을 보면 연간 200억 달러를 넘는 대미 무역흑자, 국내총생산(GDP) 3%를 초과하는 경상흑자, 한 방향으로 지속적인 외환시장 개입(GDP 대비 2% 초과 순매수, 12개월 중 8개월 이상 순매수) 가운데 모두에 해당하는 나라는 미국 조달시장 참여를 배제하는 환율조작국으로 간주된다. 만약 두 가지만 충족하면 관찰대상국이 되는데 우리나라는 여기에 해당한다. 해당항목은 대규모 무역흑자와 경상흑자 2가지다. 2015년 대미 무역흑자는 258억 달러, GDP 대비 경상흑자 비율은 7.7%를 기록했다.

중국과 일본, 독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가 문제로 지적됐다. 4개국은 공통적으로 미국과 교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내고 있다. 미국은 이번에 일정 규모를 넘어서는 무역흑자를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결국 대미 흑자를 줄이라는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도 "미국이 무역 불균형 확대를 우려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고 평했다.

이런 미국 측 움직임은 외환시장에서 원화가치를 끌어올리는 '보이지 않는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가뜩이나 식어가는 수출에 악재로 작용해 기업 구조조정과 주가하락, 경기부진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우리나라에 당장 특별한 제재가 없어, 정부는 기본적으로 환율정책에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이렇게 환율전쟁이 격화되고 원화강세가 이어진다면 어떤 투자전략을 취해야 할까. 환율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외환시장에서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치로 정부가 원화 강세 흐름에 적극 대응할 수 없게 됐다는 점에서, 원화 강세 심리를 자극할 여지가 높다. 즉, 달러화 약세 흐름이 당분간 이어져 단기적으로는 국내와 신흥국 금융시장에 우호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 금리인상 지연이 이제 막바지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미 고용시장 강세와 더불어 현재 수준으로 국제유가가 유지되면 하반기 미국 물가는 목표치인 2%를 넘어설 수 있다.

미 금리인상이 마냥 늦춰지기 어려운 만큼 달러화는 곧 강세로 회귀할 것이다. 이럴 경우 외환거래(FX)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달러화 자산 확대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