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5년까지 바이오기업 100개 육성…"글로벌 시장 5% 점유"

2016-04-21 16:01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정부가 선진국 수준으로 바이오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현장에 있는 불합리한 규제를 손보기로 했다. 

과학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성공모델을 구축, 저성장·고실업 특성을 가진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극복하겠다는 구상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는 21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바이오 산업생태계, 탄소 자원화 발전전략 보고회' 및 '제3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 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자문회의에서는 시급성과 난도가 높은 4개 규제개선 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포함한 '바이오 규제 선진화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시급한 4개 과제로는 △세포 치료 연구용 인체 자원 활용 제한 완화 △유전자 치료 연구범위 제한 철폐 △의료기기의 신의료기술 평가 대상 축소 △디지털 헬스산업 활성화 등이 제시됐다.

또 자문회의는 바이오 R&D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바이오 특화 창업공간과 보육 지원 확대', '바이오 창업 맞춤형 R&D·인프라 지원 강화', '바이오 창업 초기기업 투자 지원 확대', '코스닥 제도 개선 및 글로벌 진출 촉진' 등을 실행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런 사업을 통해 글로벌 기술혁신 바이오 기업을 100개 이상 육성하고 2012년 기준 1.3%였던 국내 바이오 업계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2025년까지 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게 장기적인 구상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탄소자원화 전주기 기술 개발 △탄소자원화 시범단지 구축 △탄소자원화 생태계 조성 등 3대 세부전략을 담은 '신(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탄소자원화 발전 전략'을 보고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제철소 등 산업 공정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부생가스(CO, H2)를 메탄올·경유 등으로 바꾸는 부생가스 전환 상용화 기술,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시멘트·용지 등을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광물화 기술, 이산화탄소로부터 기초화학연료·액체연료 등을 생산하는 차세대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등 전주기 기술을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미래부는 탄소기술 실증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탄소 자원화를 위한 생태계를 조성할 것도 제안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50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6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이다.

아울러 미래부는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제 공동연구를 주도하고 전 세계적 과학 네트워크를 확충하는 내용의 '과학외교에 대한 강화 방안'도 보고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과 동시에 산업계 경쟁력을 유지·확보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혁신이 필요하다"면서 "이날 보고한 방안은 앞으로 관련 부처들의 검토를 거쳐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고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