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20대 총선을 말한다] ⑲블랙아웃·첫 사전투표 “숨은 표를 찾아라”…판세 1차 분수령

2016-04-07 16:00

2013년 4·24 재·보궐선거 때 처음 도입한 사전투표는 4.9%를 시작으로, 같은 해 10·30 재·보선 5.5%, 2014년 6·4 지방선거 11.5%, 같은 해 7·30 재·보선 7.98%, 2015년 4·29 재·보선 7.6% 등을 각각 기록했다. 판이 큰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셈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이 14%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래픽=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최신형·김혜란 기자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이하 총선)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2016년 4·13 총선을 시작으로, 2017년 19대 대통령선거(대선), 2018년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 등이 잇따라 열린다. 특히 차기 총선은 절차적 민주주의의 산물인 ‘87년 체제’, 외환위기를 초래한 ‘97년 체제’ 이후 새로운 질서를 가늠하는 이른바 ‘정초(定礎) 선거’가 될 전망이다. 고(故)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서거로 촉발된 민주화 시대의 역사 재평가작업과 맞물려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키는 국민이 쥐고 있다. <편집자 주>

“숨은 표를 찾아라.” 지지층 결집을 위한 투표율 전쟁의 막이 올랐다. 20대 총선의 사전투표가 8∼9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11곳에서 실시된다. 전국 단위 총선에서 사전투표를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3년 4·24 재·보궐선거 때 처음 도입한 사전투표는 4.9%를 시작으로, 같은 해 10·30 재·보선 5.5%, 2014년 6·4 지방선거 11.5%, 같은 해 7·30 재·보선 7.98%, 2015년 4·29 재·보선 7.6% 등을 각각 기록했다. 판이 큰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셈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이 14%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전투표는 단순히 전체 투표율과의 상관관계를 넘어 은폐형 부동층인 ‘숨은 표’(특정 정당을 지지하지만, 응답 거부 및 여론조사 방법의 한계로 데이터에는 나타나지 않는 표심), 2010년 6·2 지방선거 이후 IT 기술진보로 촉발한 ‘세대별 투표율’과 직결된다. 7일부터 ‘블랙아웃’(여론조사 공표 금지) 선거전에 돌입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전투표가 20대 총선의 1차 분수령이라는 얘기다.

◆‘은폐형 부동층’, 너는 누구냐…숨은 표 정치학

관전 포인트는 사전투표와 숨은 표의 관계다. ‘사전투표율 제고→높은 투표율→야권에 숨은 표 발생’ 등의 인과관계는 ‘통설’과 ‘속설’ 사이에 있다. 야권 승리의 기준선인 투표율 ‘마의 55%’도 마찬가지다. 다여다야(多與多野) 구도의 판세만큼 투표율에 따른 각 당의 유·불리도 안갯속이다.

여야는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이날 집토끼(지지층) 결집을 위한 총력전을 전개했다. 새누리당은 보수성향의 5060세대(이상 포함), 더불어민주당은 진보성향의 2040세대, 국민의당은 중도·무당파 공략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 여야 각기 다른 지지층 공략에 따른 투표율 제고를 노린 전략이다. 

주목할 대목은 20대 총선 이전 첫 전국단위 선거였던 2014년 6·4 지방선거에서의 세대별 사전투표율이다.

당시 10%를 넘었던 세대는 20대(15.97%, 19세 포함)·60대(12.22%)·50대(11.3%)·70대 이상(10.00%)이었다. 40대(9.99%)와 30대(9.41%)는 10% 미만에 그쳤다. 젊은 층에선 ‘정권 심판론’, 노년층에선 정권을 뺏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투표율 제고에 한몫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국회 본청. 2013년 4·24 재·보궐선거 때 처음 도입한 사전투표는 4.9%를 시작으로, 같은 해 10·30 재·보선 5.5%, 2014년 6·4 지방선거 11.5%, 같은 해 7·30 재·보선 7.98%, 2015년 4·29 재·보선 7.6% 등을 각각 기록했다. 판이 큰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셈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이 14%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tlsgud80@]


◆세대동맹의 바로미터…‘그레이보터’ 어디로

하지만 최종 세대별 투표율은 60대(74.4%) > 70대 이상(67.3%) > 50대(63.2%) > 40대(53.3%) > 19세(52.2%) >20대 전반(51.4%) > 30대 후반(49.9%) > 30대 전반·20대 후반(45.1%) 순이었다.

사전투표율이 높았던 고령층의 최종 투표율은 높았던 반면, 20대에선 정비례 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전체 투표율은 56.8%로, 사전투표 시행 전인 2010년 6·2 지방선거(54.5%) 대비 2.3%포인트 증가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사전투표율이 10%를 기록했다면, 이 중 7∼8%는 투표일 당일 투표장으로 나갈 사람들”이라며 “사전투표는 제한적 영향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안충섭 여의도리서치 대표도 “사전투표는 그간 계속해오던 것”이라며 제한적 영향에 힘을 실었다.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세대동맹이다. 전국단위 첫 사전투표였던 2년 전 지방선거에서 ‘고령층의 세대동맹’이 젊은 층의 세대동맹보다 강한 연대전선을 형성, 이번 총선에서도 ‘그레이 보터’(gray voter·노년층 유권자)의 결속력이 승부를 결정지을 가능성이 크다.

선관위에 따르면 4·13 총선 유권자는 4210만398명으로, 지난 19대 총선 대비 189만5343명(4.7%)이 증가했다. 최다 유권자는 60대로, 23.4%(984만여명)를 차지했다. 이어 40대 21.0%(884만여 명) > 50대 19.9%(837만여명) > 30대 18.1%(761만여명) > 20대 16.0%(671만여명) > 19세 1.6%(68만여명) 등의 순이었다.

2012년 총·대선 당시 비교적 높은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5060세대 비율 증가 등 인구분포 변화와 보수층의 역결집이 야권의 숨은 표를 상쇄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총선의 유권자 비율 역시 여권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정치혐오에 따른 부동층 증가는 사전투표는 물론 전체 투표율 제고에 적잖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 공동대표가 지난달 10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정치인생을 담은 '김종필 증언록' 출판 기념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남궁진웅 기자 time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