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연준 vs '완화' ECB 서로 보완할 듯..."세계 경제 이상무"

2015-12-17 16:37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미국의 금리인상이 확정되면서 세계의 눈은 자연스레 유럽으로 쏠리고 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강달러 현상으로 시장 불안이 예상되는 데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 완화 정책에 따른 자본 유출 가능성이 점쳐지는 탓이다. 그러나 일단 "큰 부정적 변동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ECB는 양적 완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ECB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내 시중은행 대상으로 적용하는 예금금리는 현행 -0.20%에서 -0.30%로 0.10%포인트 내렸다. 각국 시중은행의 대국민 대출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조치다. 기준금리와 한계대출금리는 각기 0.05%와 0.30%로 유지하기로 했다. 시행시한은 오는 2017년 3월까지로 늘어 났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의 임기인 2019년 10월까지는 적어도 금리 인상 대신 추가 완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과 유럽이 정 반대의 길을 택한 데는 세계 경제의 주요 축을 담당하는 양측의 경기가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고용률과 부동산 등 경제 지표가 다소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따라서 경기 과열에 대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선 미국에서는 '비둘기파'에 가까운 완만한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 경기 부양이 요구되는 유럽에서는 단호한 금리 인하가 걸맞다는 지적이다.

시장에서는 외려 ECB의 완화 정책 유지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의 긴축 정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켜준다고 지적하고 있다. CNBC와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경제 매체는 ECB가 긴축을 자제함으로써 거의 10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하게 된 연준에 심적 여유를 줬다고 분석했다.

특히 그동안 연준의 금리 인상 조치가 예견됐던 만큼 시장의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아 달러화 가치 상승 폭도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달러화와 유로화 등 수출입 거래 시 유리한 화폐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외채 부담 증가 등 미국발 영향이 있을 때는 ECB가 적극 개입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페트르 프레이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파이낸셜 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지난 2013년 당시 벤 버냉키 미 연준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발표로 장기 국채금리가 폭등했을 때도 ECB는 통화정책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당시 미국의 채권금리가 폭등해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제가 휘청이자 ECB가 금리를 50베이시스 포인트(bp) 낮춰 역대 최고 수준(0.25%)으로 조정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