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CEO 96%, 기술금융 다시 이용할 의사 있다

2015-12-17 14:01

[표=금융위원회 제공]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중소기업 경영자 10명 중 9명이 기술금융을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와 은행연합회는 17일 기술금융 정착 및 확대 시행 1년반을 맞아 중소기업, 은행,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책만족도 조사 및 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기술금융이 도입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창업·중소기업에 지원된 은행권 기술신용대출이 58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기존 대출 대환, 기간 연장 등을 제외하고 새롭게 공급된 신규 및 증액 대출이 30조9000억원에 달했다.

기술금융을 받은 기업에 대한 평균 금리는 올해 3분기 기준 3.9%로 기술금융 도입 전 1년간(2013년 7월~2014년 6월)의 평균 금리보다 1.08%포인트 낮았다.

기술금융 미실시기업 역시 같은 기간 금리가 0.72%포인트 하락했지만, 기술금융 실시기업은 5.07%에서 3.99%로 미실시기업은 4.84%에서 4.12%로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기술금융의 단점 중 하나로 지적되던 기술신용평가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가 자료 수집 효율화와 평가 절차 안내 강화를 통해 올해 5월 21.3일에서 올해 11월 9.8일로 절반 이상 단축됐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기술금융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3.92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CEO 가운데 96.3%는 향후 기술금융을 다시 이용하고 싶다고 의사를 보였다. 82.3%는 주위에 기술금융을 추천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24.9%는 향후 기술금융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절차의 간소화'가 가장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내 은행 지점장 3305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7.1%가 기술신용평가 결과를 실제 대출 심사에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83.7%는 기술신용대출의 금리를 일반 중기대출보다 낮게 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기술금융으로 은행 건전성이 악화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86.1%였다. 오히려 은행 건전성이 개선된다는 응답이 43.5%로 조사됐다.

실제로 기술금융 도입 전후 1년간을 비교하면 기술금융 실시기업의 연체율은 1.2배 증가한데 반해 미실시기업은 2.8배나 커졌다.

은행 지점장 82.9%는 기술금융의 여신관행 정착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최근 기술금융 개선 방향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72.8%가 신규 및 증액 대출만 집계한 기술신용대출 평가액 도입이 무늬만 기술금융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외에 72%는 기술금융 정착을 위해 은행이 자체적으로 기술신용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기술금융 유관 전문가 6명이 참여한 심층토론에서는 기술금융 활성화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들은 "기술금융이 시장에서 분명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중소기업들을 위한 정책이기 때문이고 실제로 굉장히 기업들한테 인기가 좋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기술금융의 의지는 은행이 할 거냐 말 거냐에 달려 있기에 은행 자체 기술평가 능력개발이 중요하다"며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은행이 하는 대출이 아니라 투자회사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책의 당위성이 분명해 정책 드라이브가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기술금융을 제대로 하는 사람이 20% 정도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에 정책이 정착되기까지 10년 이상 소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위는 이번 점검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술금융 정착 및 확대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TDB 기능 강화를 통해 평가 효율화에 필요한 기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또 은행이 인력·조직 등 기술금융 역량을 확보해 내년 하반기부터 자체 평가를 실시하도록 지도한다. 아울러 지식재산권 투자펀드의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평가 기반 펀드를 지속 조성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