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미국 기준금리 인상 리스크 없다”
2015-12-13 11:00
한국내 단기자금 및 외환대응력으로 방어 가능
위험국은 터키,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위험국은 터키,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13일 ‘미국 금리인상의 파급효과와 대응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한국을 비롯한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해 외환대응력과 부도위험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위험국으로는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지난 1994년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신흥국인 멕시코의 금융위기로 이어졌고 이는 곧 아시아권을 강타했던 ‘데킬라 효과’와는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 보고서는 외환건전성이 좋아졌고 국가부도위험도 안정적인인 만큼 지금은 그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그린스펀 전 연준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내 단기자금은 2700억달러 정도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국가부도위험으로도 데킬라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보고서는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중 가장 안정적”이라며 “반면, 아르헨티나(사실상 국가부도), 브라질(4.502%), 러시아(2.770%), 남아프리카공화국(2.738%), 터키(2.612%) 등은 가산금리가 높아 부도위험이 높은 나라”로 분류했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은 “미국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라고 전망했다.
1997년 외환위기처럼 미국 금리인상발 위기가능성을 주장하는 일부에 대해 보고서는 “지금의 우리 외환보유고는 당시에 비해 14배 이상 증가했고, 위기 대응력도 크게 높아진 상황”이라고 일축했다.
다만,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주요 위험국에 대한 수출부진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는 조언이다. 보고서는 “이들 신흥국의 경우 중국경제 둔화, 원자재가격 하락 등의 악재까지 겹쳐 가장 좋지않은 시나리오에 대해 대비해둬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가 제안하는 기업의 대응전략은 무역보험, 환변동보험을 통해 환리스크를 줄이고, ‘위험국’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와 위험국과 거래중인 현지기업의 지급불이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이어 관리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수봉 경제조사본부장은 “미국의 금리인상은 7년간 지속되어온 저금리 시대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사건”이라며 “기본적으로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나, 신흥국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과 우리기업의 자금사정 악화 가능성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