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블록·경사로 등 장애인 편의시설에 숨은 과학
2015-12-09 16:28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거리를 걷다 보면 바닥에 올록볼록한 점자 블록을 흔히 볼 수 있다.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이다. 수도권 및 지방 소·도시에는 장애인복지법 제23조에 따라 장애인이 공공시설과 교통수단을 안정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점자 블록 같은 편의시설을 설치해 놨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장애인을 위한 공공편의 시설에도 과학이 숨어있다.
지하철역 내 계단 손잡이에는 점자가 박혀 있는 손바닥만 한 크기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지하2층 대합실 타는 곳’, ‘제2종합청사 방면’ 등의 정보를 알려준다. 시각 장애인들의 길을 안내하는 ‘눈’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점자 안내문이나 인도의 점자 블록은 요철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장애인들은 오목함과 볼록함의 차이를 손 또는 발 등 촉각을 이용해 구분함으로써 정보를 읽는다. 점자는 가로로 2점, 세로로 3점 모두 6개의 도드라진 점으로 구성돼 있다. 이 점을 조합해 64개의 점형을 만든다.
위쪽의 거대한 도르래가 돌아가면서 추와 엘리베이터 몸통을 수직인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때 사람의 무게는 줄의 장력(끌어당기는 힘)에 영향을 준다. 지구 상 모든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도르래가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건물 출입구 계단 옆에는 경사로가 설치돼 있다. 휠체어 사용자의 통행을 돕기 위한 것이다. 경사로 설치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무로 규정돼 있다. 경사로에는 빗면의 원리가 들어있다. 빗면을 이용하면 수직일 때보다 더 작은 힘으로 물체를 끌어올릴 수 있다. 대신 경사면이 기울어진 정도에 걸맞게 이동 거리는 늘어난다. 다시 말해 결과적으로 일의 양은 변함이 없지만 작은 힘을 더 길게 줘야 한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