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임금 성과주의 도입 놓고 공방전···노조와 갈등 예상

2015-11-15 10:29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이정주 기자 = 최근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은행권 성과주의 도입을 놓고 노조와 갈등이 고조될 전망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당국이 호봉제 중심인 현행 은행원 임금체계를 연봉제로의 전환을 언금하면서 이를 두고 노조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연봉제 논의는 지난 5일 ‘은행의 바람직한 성과주의 확산 방안’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의 “은행권의 임금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시작됐다.

당시 세미나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산업의 임금수준에 대비한 금융산업의 임금수준은 지난 2006년 129.7%에서 지난해 139.4%로 올랐다. 금융산업의 호봉제 비율은 2013년 63.7%로 전체 산업 평균인 36.3%의 두 배에 달했다.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이 2012∼2013년 사이 55.3%까지 줄어들면서 수익성 악화를 고려해 비효율적인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후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금융개혁 중 가장 중요한 과제로 금융권의 성과주의 확산을 지목하고 나서 불을 지폈다.

그러나 은행권 종사자들은 불편한 심기를 내비치고 있다. 성과주의에 대해 준비된 것도 없고 성과를 판단할 만한 기준도 없다는 주장이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정부가 은행권에 연봉제 도입을 강제한다면 총력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성과주의 연봉제가 정부의 4대 개혁 과제 중 쉬운 해고를 골자로 한 노동개혁 과제에 포함됐다”며 “최근 이를 금융개혁 과제로 포장해 금융권에 강제하려 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 “기업의 특성에 따라 금융기관에서는 호봉제나 연봉제, 혹은 이 둘이 혼재된 임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며 “보험이나 증권은 공격적인 세일즈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연봉제를 채택하지만 안전성과 리스크관리를 생명으로 하는 은행은 연봉제보다는 호봉제가 업무 특성에 더욱 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봉제로 전환하기에는 은행직무가 다양한 것도 아니고 성과금을 제대로 줄 것 같지도 않다”며 “보험 한 개를 하는 것과 카드 한 장을 하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 각론을 세밀하게 다듬지 않는다면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