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구 13년 만에 최다 유출…"전셋값 폭등 영향"
2015-11-12 13:54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인구가 13년 만에 가장 많았다. 치솟는 전셋값 영향때문이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3분기 시도별 지역경제동향' 자료를 보면 올 3분기(7~9월) 서울에서 총 3만7520명이 순유출됐다.
이는 2002년 2분기에 4만2078명 순유출을 기록한 이후 13년여 만의 최대폭이다.
서울은 8727명이 순유입됐던 2009년 1분기를 끝으로 6년 넘게 인구가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 인구 순유출에는 전셋값 등 주거비용 상승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KB국민은행이 올 들어 9월까지의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은 7.49% 상승하면서 전국 평균(4.76%)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는 지난해 서울 연간 상승률(4.86%)의 1.5배에 달하는 것이다.
이밖에 대전(-4279명), 부산(-3064명)도 순유출을 기록했다.
경기(2만5919명), 세종(1만2264명), 제주(4048명)는 다른 지역에서 인구가 순유입됐다.
한편 올 3분기의 전국 대형소매점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1.8% 줄어들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직격탄을 맞았던 인천·제주 지역에서 올 3분기(7∼9월) 소비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9.2%)의 감소폭이 제일 컸고 서울(-6.7%), 제주(-5.8%)가 뒤를 이었다.
특히 작년 말부터 3분기 연속으로 전국 증가율 1위에 올랐던 제주는 2010년 1분기(-7.2%) 이후 22분기(5년6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 반전했다.
이는 지난 6월 기승을 부린 메르스 여파로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메르스 영향이 남아있던 7∼8월 인천과 제주 지역의 면세점에서 화장품·신발·가방 등 매출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에 경기(7.2%), 충남(3.7%), 충북(3.4%) 등 6개 지역에서는 소비가 늘었다.
3분기 전국의 소비자물가는 0.7% 상승에 그쳤다.
서울(1.3%), 인천(1.0%), 부산·경기·제주(각 0.7%) 등지에서 많이 올랐다.
충북(-0.4%)과 전북(-0.2%)을 비롯한 5개 지역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물가가 내렸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전국 생활물가는 1년 전 대비 0.1%를 나타내며 3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0.7%), 인천(0.3%), 제주(0.0%)를 뺀 모든 시도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올 3분기 전국 광공업생산은 작년 동기 대비 0.3% 감소했다. 전분기(-1.5%) 보다는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전남(11.0%)과 부산(6.6%)은 선박 및 화학제품 부문의 호조로 증가했다.
그러나 서울(-7.8%), 경남(-7.5%), 인천(-4.8%)은 전자부품과 금속가공, 기계장비의 부진으로 감소세가 지속됐다.
올 3분기 전국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9.5% 줄었다.
전자부품과 석유정제품, 화학제품 등이 부진한 영향으로 세종(-24.8%)과 울산(-24.6%), 전남(-22.1%)이 크게 감소했다.
제주(39.2%)와 충남(8.6%)은 반도체와 통신기기 등의 호조로 증가했다.
전국 취업자 수는 7∼9월 총 262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늘었다.
지역별로는 제주(7.5%)와 울산(4.8%), 강원(3.7%)에서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이 호조를 보여 증가했다. 부산(-2.3%)과 경북(1.3%) 두 곳만 감소했다.
주택과 기계설치 등 건축과 토목 수주 부문이 모두 호조를 띠면서 전국 건설수주는 작년 3분기보다 48.7% 증가했다.
울산(1289.6%)은 무려 13배 가까이 늘었고 대전(271.3%)과 충북(144.7%)도 크게 뛰었다.
세종(-80.3%), 경북(-43.5%)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