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과장연비, 소비자 기만”

2015-09-22 16:15

폭스바겐 신형 골프R[사진=폭스바겐 코리아]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폭스바겐의 배기가스 조작과 과장연비를 ‘기업윤리를 저버린 소비자 기만행위’라고 규정하고 사죄 후 지체없는 자체 리콜을 주문했다.

경실련은 22일 “소비자를 기만한 폭스바겐의 사기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정부가 신차뿐만 아니라 시중에 판매된 차량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조사를 실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지난 18일(현지시각)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디젤 승용차 48만여대에 대한 리콜을 명령했다. 폭스바겐은 배기가스 배출량을 속이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자동차 배출가스 환경기준을 회피한 게 발각된 것이다. 해당 모델은 2009~2015년 생산된 폭스바겐 제타, 비틀, 골프, 2014~2015년형 파사트, 2009~2014년 생산된 아우디A3이다. 이들 차량의 배출가스 농도는 미국 환경기준의 최대 40배를 초과했다.

폭스바겐은 소비자에게 해당 차량을 판매하면서, 폭스바겐의 엔진은 “배기가스 절감을 더했다”며 “최소한의 CO2 배출량을 자랑”한다고 홍보했다. 비틀 광고에서는 ‘깨끗한 배출가스로 유로 5 배출가스 기준을 만족 시킵니다’라는 문구도 찾아볼 수 있다. 해당 문구 등은 지금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최근 폭스바겐은 골프 1.6 TDI 블루모션의 공인연비를 기존보다 15%나 낮춰 신고한 것까지 의심을 받고 있다.

경실련은 “폭스바겐은 이와 같이 친환경 엔진, 연비의 효율성을 홍보했다”며 “만약 폭스바겐이 미국에서와 같이 한국시장에서도 배기가스 배출량을 조작한 것으로 확인된다면, 이는 거짓 광고, 기만적인 광고로 소비자를 속이고 기만한 것이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를 주문했다. 경실련은 “폭스바겐과 아우디 디젤차량의 배기가스, 연비 조작 등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며 “정부는 이번 문제에 대해 한·EU FTA 통상문제 등을 우려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정부가 “세관을 통관해 판매대기 중인 신차를 대상으로만 장치 조작 여부를 파악하겠다”고 밝힌 점도 지적했다. 문제의 차종들은 국내에 5만9000여대가 판매됐지만 이미 시중에 판매된 차량에 대한 조사는 진행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경실련은 폭스바겐의 즉각적인 리콜도 요구했다. 경실련은 “무엇보다 폭스바겐은 한국에서도 미국에서 한 조작행위를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면, 최우선적으로 소비자에게 사죄해야 한다”며 “정부의 조사와 제재와 상관없이 자체적인 리콜을 실시해야한다”고 말했다.

향후 경실련은 정부조사와 폭스바겐의 향후 대응 등을 지켜본 후 폭스바겐의 불법행위가 명확히 입증되면, 피해 소비자를 모집해 집단적인 소송도 불사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