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오픈프라이머리, 공식적 논의로 결정…여야 동시도입 위해 노력"

2015-09-18 14:32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진제공=새누리당]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8일 오픈프라이머리(국민공천제) 도입을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을 계속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김 대표는 서울 성균관대에서 열린 '성균관 추기석전'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새정치연합도 아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 때문에 문재인 대표와 만나 의사를 타진해 보고 그 다음에 결정할 것이지, 서두를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당론도 보수혁신특별위원회에서 다수의 참여자들이 공식적인 의논을 통해 도출해 낸 결론이고, 또 의원총회를 통해 당론으로 결정된 사안인 만큼 당 대표가 마음대로 할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당론으로 관철시키는 게 안 된다고 확정될 때는 그 때 가서 또 당의 공식기구를 통해 방향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국민들이 각 당의 국회의원 후보자를 선출할 수 있는 예비선거 방식이다. 김 대표는 앞서 정치생명을 걸고 이 제도의 도입을 완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야당의 혁신안 통과로 인해 친박 진영을 중심으로 상황이 달라졌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총선이 불과 7개월 밖에 안 남았기 때문에 빨리 총선의 새로운 룰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면서 "국민의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기초로 해서 새로운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

지난 17일에는 친박계의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안 통과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어려움에 봉착한 상황에서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김무성 대표의 입장을 명확히 하라고 촉구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 역시 전날 야당 합의 없이 도입은 불가능하다는 입장과 함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원 원내대표의 주장에 대해 김 대표는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이라면서 "사전에 조율은 없었다"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의 발언으로 촉발된 당내 계파 갈등 가능성에 대해서는 "거기에 대해 얘기할 생각이 없다"면서 "나는 당내 계파를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해온 사람"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