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무라야마, 중국 인민일보 기고 "'사죄'없는 아베담화 무의미"

2015-08-11 16:16

20년 전 일본 전쟁 침략을 사죄했던 무라야마 도시이치(村山 富市) 전 총리가 지난달 23일 일본 도쿄 국회의사당 앞 안보법제 강행 반대 집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중국신문사]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가 침략·식민지통치·반성·사죄 등의 단어가 없는 아베 총리 담화는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안보법안 통과를 필사적으로 저지할 것이라고도 전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고문을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11일자에 게재했다.

그는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일본이 과거 악행으로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 엄청난 재난을 가져온 것에 대해 반드시 철저하게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철저한 사죄를 바탕으로 다시는 역사의 전철을 밟지 않는다고 맹세해야만 비로소 이웃국가와 신뢰 관계를 닦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20년 전 내가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중국과 한국 등의 국가들이 모두 이해를 표시했다”며 “무라야마 담화는 역사 문제에 대한 정론을 제시하고 역대 총리들은 이를 계승해왔다고 전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1995년 종전 50주년 담화에서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을 아시아 여러 나라에 사죄했다. 

그는 "그러나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히기는 했지만 또 한편으로 전체를 계승하지 않겠다고 말하면서 아베 총리의 역사 문제에 대한 진정한 생각과 의도에 대해 전 세계가 우려하고 주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만약 아베 총리가 오는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침략', '식민지 통치', '반성', '사죄' 등의 표현을 담지 않는다면 아베 담화는 그 의의를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도 그는 경고했다.

이와 더불어 무라야마 전 총리는 아베 내각이 '집단 자위권 법안(안보 관련 11개 법률 제·개정안·이하 안보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나는 권력을 남용해 민의를 무시하는 행동을 강력히 반대한다"며 "목숨을 걸고 안보법안 통과를 저지할 것"이라며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