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모기 '극성'…잔물땡땡이 유충으로 '친환경 퇴치'

2015-07-28 14:11
잔물땡땡이 유충 한 마리, 하루에 900마리 모기 유충 포식

천적생물과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종합적 모기방제 기술 개요[출처=한국환경산업기술원]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모기 유충의 천적을 이용한 모기 퇴치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잔물땡땡이 유충을 활용하는 등 종합 모기방제(防除)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잔물땡땡이 유충은 잔물땡땡이 곤충강 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연못·습지 등에서 살며 물속에서 알-유충(애벌레)-번데기-성충(날벌레)의 성장과정을 거친다.

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모기 유충을 잡는 친환경 방제기술은 전자 장비를 이용해 모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파악, 해당 지역에 잔물땡땡이 유충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잔물땡땡이는 유충 단계에서 물속의 모기 유충을 포식하고 성충이 되면 물 속 동·식물의 사체를 먹는 청소부 역할을 한다.

특히 잔물땡땡이 암컷이 낳은 한 개의 알집에서는 약 70마리 유충이 부화된다. 3번의 탈피를 거친 잔물땡땡이 유충 한 마리가 하루에 포식할 수 있는 모기 유충은 900마리 이상이다.

아울러 다른 천적 생물들과 달리 친환경적인 속성에 탁월하며 량 공급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성충 후에도 초식성 등 수중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험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잔물땡땡이 활용 모기 방제기술 개발은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배연재 교수 연구팀이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연구한 성과다.

김용주 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이번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이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중부아프리카 등 해외에도 널리 보급될 수 있다”며 “말라리아·일본뇌염 등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