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미국 국무장관 "이란 핵협상 안될 수도 있어"... 핵심쟁점 이견 커

2015-07-06 08:24

존 케리 미 국무장관[사진=CNN 방송화면 캡쳐]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이란 핵 협상 최종 타결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핵 협상을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 머물고 있는 케리 장관은 5일(이하 현지시간)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과 네 차례 만나 최종 타결을 시도한 뒤 취재진에 이 같이 설명했다고 AP통신 등이 전했다.

양측은 이란 군사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허용 여부 등 민감한 쟁점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현재 이란 내 군사시설 사찰 범위, 이란의 핵 기술 연구 제한 기간,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 시점 등을 놓고 갈등 중이다.

이란 내 군사시설 사찰 범위와 관련, 주요 6개국이 "이란 북부 파르친, 포르도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IAEA 사찰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에 이란은 "국가 안보 사항"이라고 맞서고 있다. 핵 기술 연구 제한 기간을 10년 이내로 최소화하자는 이란 측 요구를 놓고도 협상단 내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 시점 역시 이란이 "협상 타결 즉시 해제"를 촉구했지만 미국은 "절차상 어렵다"고 일축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취재진에게 "이번 주중 이란 핵 협상 타결에 이를 수 있겠지만, 며칠 내로 어려운 선택을 내리지 못한다면 합의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백악관에서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막판 진통을 겪는 이란 핵협상과 관련, "이란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의 요구 조건을 수용해야 한다"면서 "나쁜 협상으로 흐르면 언제든 협상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케리 장관은 이에 대해 "그것은 누구도 원하지 않는 일이며 지금이야말로 역사적 핵 협상 타결을 볼 때"라면서 사실상 이란의 양보를 촉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최근 유튜브에 게시한 영상을 통해 "지금처럼 핵협상이 타결에 접근한 적이 없었다"면서 "핵협상에서 강압과 압박을 중단하라"고 말했다. 자리프 장관이 직접 미국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핵협상 핵심 당사국인 미국을 겨낭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양측은 당초 마감시한으로 정한 지난달 30일까지 최종 타결에 이르지 못하자 오는 7일로 시한을 연기했다.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5개국 외교장관이 6일 막판 협상 테이블을 차리기로 했으나 시한 내 타결을 장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미 상원이 통과시킨 의회승인법은 '9일까지 이란 핵 협상 타결안을 미 의회에 제출하지 못하면 의회 검토 기간이 3배 늘어나 90일로 연장된다'로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