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6자수석, 중국측에 "북핵 억지 역할해 달라" 논의할 듯
2015-05-29 09:00
전날 한미일 협의 결과 설명하고 대북압박 조율할듯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한국과 미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28일 나란히 베이징(北京)을 찾아 중국 측과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와 비핵화 진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미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날 서울에서 베이징으로 출국해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잇따라 회동했다.
황 본부장은 출국 직전 "북한에 있어서 중국은 가장 중요한 나라로, 중국만이 할 수 있는 건설적 역할이 있다"면서 중국 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북핵,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긴밀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한 정세가 불확실하다거나 핵능력이 계속 고도화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당초 한미중은 이날 오후 미중, 한중 순으로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성 김 특별대표가 출국 시간을 오후로 늦추면서 중국 측과의 회동 일정에 다소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수석대표가 같은 날 나란히 베이징을 찾는 것은 이례적으로 사안의 중대성을 대외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협의는 한미일의 논의 결과를 중국 측과 구체적으로 조율하는 모양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일은 지난 27일 서울에서 가진 3자 회동에서 대화와 압박이라는 투트랙을 유지하면서도 압박·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성 김 대표는 3자 회동후 약식기자회견에서 "중국이 6자 회담 과정을 주도하고 있는만큼 북한이 저희(6자회담 당사국)와 함께 협력해 비핵화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끌어야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으로부터 신용가능하고 진실된 협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중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와 관련해 우다웨이 대사님와 논의 할 예정"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따라 한미 수석대표는 한미일 협의 결과를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대북 압박이 실질적 효과를 발휘하려면 중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요청한 것으로 관측된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한미일에 이어 한미중이 함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만나는 모습이 북한을 향해 강력한 압박 메시지를 발신하려는 포석으로 보고있다.
한미일, 한미중 수석대표 간 접촉과 별도로 이날 일본 도쿄에서는 북핵 6자회담 당사국들이 참여하는 반관반민(트랙 1.5) 성격의 대화체인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가 개최됐다.
이번 회의에는 북한을 제외한 북핵 6자회담 참가국인 한국·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5개국 당국자들이 북한의 최근 정세와 북핵 등의 대응 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측에서는 김건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 시드니 사일러 미국 국무부 6자회담 특사 등 한미일 3개국의 6자회담 차석대표와 중국, 러시아의 주일 대사관 당국자 등이 참석했다. 북한은 이번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지 않았다.
한미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날 서울에서 베이징으로 출국해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잇따라 회동했다.
황 본부장은 출국 직전 "북한에 있어서 중국은 가장 중요한 나라로, 중국만이 할 수 있는 건설적 역할이 있다"면서 중국 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북핵,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긴밀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한 정세가 불확실하다거나 핵능력이 계속 고도화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당초 한미중은 이날 오후 미중, 한중 순으로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성 김 특별대표가 출국 시간을 오후로 늦추면서 중국 측과의 회동 일정에 다소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수석대표가 같은 날 나란히 베이징을 찾는 것은 이례적으로 사안의 중대성을 대외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협의는 한미일의 논의 결과를 중국 측과 구체적으로 조율하는 모양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일은 지난 27일 서울에서 가진 3자 회동에서 대화와 압박이라는 투트랙을 유지하면서도 압박·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성 김 대표는 3자 회동후 약식기자회견에서 "중국이 6자 회담 과정을 주도하고 있는만큼 북한이 저희(6자회담 당사국)와 함께 협력해 비핵화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끌어야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으로부터 신용가능하고 진실된 협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중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와 관련해 우다웨이 대사님와 논의 할 예정"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따라 한미 수석대표는 한미일 협의 결과를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대북 압박이 실질적 효과를 발휘하려면 중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요청한 것으로 관측된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한미일에 이어 한미중이 함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만나는 모습이 북한을 향해 강력한 압박 메시지를 발신하려는 포석으로 보고있다.
한미일, 한미중 수석대표 간 접촉과 별도로 이날 일본 도쿄에서는 북핵 6자회담 당사국들이 참여하는 반관반민(트랙 1.5) 성격의 대화체인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가 개최됐다.
이번 회의에는 북한을 제외한 북핵 6자회담 참가국인 한국·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5개국 당국자들이 북한의 최근 정세와 북핵 등의 대응 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측에서는 김건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 시드니 사일러 미국 국무부 6자회담 특사 등 한미일 3개국의 6자회담 차석대표와 중국, 러시아의 주일 대사관 당국자 등이 참석했다. 북한은 이번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