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대상 30대그룹 전체” 검찰 압박에 기업들 위축

2015-03-17 14:21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대기업을 향한 사정당국의 압박 수사가 확산되면서 재계가 불안에 떨고 있다.

박근혜 정부 집권 3년차를 맞아 부패척결 차원에서 진행한다고 주장하지만, 정치권과 재계가 최저임금을 포함한 임금인상과 고용확대 요구 등과 관련 갈등을 빚는 상황이어서 '보복성 사정'이 아니냐는 분위기다. 사정 대상이 30대 그룹 전체라는 소문도 퍼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내용은 전 정권인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부터 내사를 진행해 왔지만, 본격적인 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이런 것들을 뒤늦게 꺼낸 것은 결국 정치권의 알력 다툼에 기업들이 희생물이 된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과 사정당국에 의해 진행되는 경제활성화와 부패와의 전쟁을 놓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권과 사정당국이 부패와의 전쟁을 통해 경제활성화 차원에서 다른 의견을 보이는 재계에 대한 옥죄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잠깐 기승을 벌이다 지나가는 꽃샘추위가 아니라, 시베리아의 매서운 강추위로 느끼고 있다. 경제상황도 안좋은 가운데 벌어지고 있으니 기업들로서는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사정의 도마 위에 오른 첫 재물은 포스코다.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혐의에서 비롯된 이 사안은 정준양 전 회장을 비롯한 전·현직 경영진이 줄줄이 소환 대상으로 거명된 것을 비롯해 포스코그룹 계열사 전체로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지난 16일 임원회의에서 “검찰수사에 성실히 협조해 조기에 의혹을 해소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는 등 조기진화에 나섰지만, 제동을 걸 수 없을 만큼 의혹은 증폭되고 있다.

동부그룹도 김준기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다시 거론되자 불안한 모습이다. 동부그룹 비자금 의혹은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추적망에 비정상적인 현금 흐름이 포착되면서 내사 리스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동부측은 2년여 전부터 내사 사건이 계류돼 있었는데 검찰에 소환된 직원이나 임원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혹이 해소되는 것 아니겠느냐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하지만 포퓰리즘을 의식한 검찰이 어떻게 해서든지 꼬투리를 잡는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신세계는 작년 11월부터 거론된 비자금 의혹으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신세계 측은 “올해 1월 관련 사안을 검찰에 해명해서 해소됐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조사가 착수된다니 당황스러운 입장이다"면서도 "조사가 시작되면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신세계의 법인 당좌계좌에서 발행된 당좌수표가 정상적인 물품 거래에 쓰이지 않고 현금화된 경위를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건설은 새만금방수제 담합 혐의로 수사 대상에 올랐다. 검찰은 SK건설을 공정거래위원회가 고발토록 고발요청권을 행사했는데, 강제규정을 도입한 법 개정 이후 첫 사례다. SK건설은 “검찰수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재계의 관심은 다음 대상은 누구냐는 것이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4대 그룹은 물론 30대그룹 전체가 사정 대상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누구라고 할 것없이 모두가 사정대상이라는 것이다”며 “비리 수사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해서 추후에 이런 상황이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은 누가 봐도 다 알고 있다. 진실이 아닌 ‘카더라’ 의혹에 발목을 잡힌 기업으서는 대외신인도 하락과 투자사업 실패 등으로 이어질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