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산업부 장관 "중동에 전담 심의관 배치…정보교류 및 협력 활용"

2015-03-11 16:00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최근 중동 순방길에 올랐던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중동지역에 전담 심의관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전담 심의관을 지정해 해당 국가와의 정보 교류 및 협력 강화를 꾀하겠다는 복안이다.

윤 장관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중동지역을 맡아 정보를 수집하고, 협력을 도모할 인원이 필요하다"면서 "국제통상협력국의 국장급을 심의관으로 지정해 지속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중동지역에는 산업부 과장 한 명만이 파견으로 나간 상태다. 하지만 이번 중동 순방으로 시장의 물꼬가 트인 마당에서 큰 시장을 관리할 인원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얘기다.

윤 장관은 "중동은 원전이라든가 또 보건의료, ICT,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신산업, 식품 등 굉장히 진출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면서 "단순히 과장 한 사람으로 중동시장을 관리하는 것이 아닌 국장급의 전담 심의관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중동시장 진출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현재 UAE만 보더라도 2500명에 해당하는 젊은 인력들이 현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면서 "중동국가들이 한국 청년들에 대한 전문성과 성실성에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순방을 통해 이러한 전문직 일자리를 많이 발굴을 해서 우리 청년들에게 연결시켜주는 구상을 하고 있다"며 "중동에서의 고급 일자리에 우리 청년들을 매칭시킬 수 있도록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중동의 국부펀드를 비롯해 민간투자부분도 신경써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산유국인 중동국가들의 오일프로젝트 등에는 투자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면서 "이번 순방에서도 40개여개 프로젝트를 제시를 했고 그중에 상당한 프로젝트는 저쪽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펀드와 중동의 국부펀드처럼 그 나라에 투자를 활성화 해야 한다"면서 "예컨데 수요가 높은 할랄식품 같은 부분에 투자를 유치해 농업과 식품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제3국의 공동진출과 관련해서도 이 같은 중동의 국부펀드와 투자를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전 같은 대규모 메가프로젝트의 경우 한국 혼자서 금융을 조달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앞서 말한 펀드와 투자를 적절히 활용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윤 장관은 이번 중동 순방을 통해 9억달러가 넘는 수주 상담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ICT를 비롯해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보건, 의료, 원전, 식품 등 이런 분야에 많은 중견, 중소기업이 참여를 했다"면서 "이들이 코트라와 무역협회를 통한 1:1 상담으로 실질적인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윤 장관은 취임 2주년을 맞이한 소감으로 "산업부 장관으로 부족한점이 많지만, 초심의 마음으로 항상 일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