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열풍 속 길거리로 내몰리는 금융인
2015-03-08 22:02
아주경제 전운·문지훈 기자 = # A은행 지점장으로 근무하던 B씨는 최근 사표를 제출하고 그동안 몸담았던 은행을 떠났다. 비대면 거래의 증가로 은행 인력이 감소하면서 인근 C지점과의 통합이 결정됐기 때문이다. 지점 통합 후 타 지점이나 본점으로 옮길 수 있었지만 B씨는 오래 일하기 힘들 것 같아 희망퇴직을 선택했다.
핀테크의 그늘이 짙어지고 있다. 금융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정부가 핀테크(금융+기술) 활성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비대면 거래 증가·금융산업 환경악화 등의 영향으로 금융사 인력들이 점차 거리로 내몰리고 있는 가운데, 핀테크 활성화로 인해 금융업계에 일자리 감소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핀테크 활성화로 인한 금융권의 고용 불안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인터넷뱅킹 등 IT 기술이 접목되면서 지점 통합·금융 설계사 감소 등이 계속되고 있고, 인터넷전문은행 육성 정책 등 정부가 핀테크를 활성화하면서 금융권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금융권은 인터넷·스마트폰뱅킹이 활성화되면서 대면 거래를 위한 인력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금융사들이 비용절감·수익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영업점·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상당수 금융사들은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수익을 내기가 어려워지는 등 금융산업을 둘러싼 경기 상황이 악화되자 신규채용을 조금씩 줄이고 있다. 보험업계 및 증권업계에서는 희망퇴직 바람이 불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금융위원회는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오는 6월 말까지 한국형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마련해, 구조조정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선진형 금융 경영 환경을 만들기 위함이지만, 금융산업 인력구조에는 긍정적인 것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의견이 더욱 지배적이다.
핀테크의 대표 모델인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되면 은행권에서는 창구전담직원(텔러) 등 다양한 직종들이 일자리를 잃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단순 조회 및 이체의 경우 대부분이 인터넷뱅킹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창구거래 인력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는 데다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되면 필요성이 더욱 감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일평균 인터넷·모바일뱅킹 이용건수는 6645만건으로 최근 몇년동안 급증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았지만 은행 인력구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며 "현재도 인터넷·모바일뱅킹 비중이 높아 창구거래 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하고 있어,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되면 고용문제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잿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핀테크의 활성화가 오히려 인력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다.
노동조합과의 마찰이나 사회적 여론 등을 감안해 금융계에서는 사실상 구조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구조조정이 진행되더라도 규모를 최소화하면서, 인력운용 방식을 변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핀테크의 활성화가 고용 창출보다는 인력 감소에 더욱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주장에 더욱 무게가 실리는 이유는 해외 사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8개 인터넷전문은행을 보유한 일본의 경우 직원수가 200~300명에 불과하며,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으로 인력 감소가 뚜렷해졌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인터넷전문은행이 생겨나면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팀장은 "인터넷전문은행 성격에 따라 대출업무를 취급하지 않을 경우, 심사인력도 필요없는 데다 IT·보안 등의 경우 금융IT 전문가로 채워질 전망"이라며 "은행원들도 이제는 대출, 수신업무만 담당할 게 아니라 상담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