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고가 재생] 뉴욕 하이라인공원 등 해외 사례는

2015-01-29 11:01

  [High Line Park]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파크(High Line Park)는 대표적인 해외 도시재생 사례로 꼽힌다. 맨해튼의 로어 웨스트 사이드(Lower West Side)에서 운행됐던 2.33㎞ 길이의 고가 화물노선(도심철도)에 꽃과 나무를 심고 벤치를 설치했다.

프랑스 프롬나드 플랑떼(Promenade Plantee, 1993)를 모델로 해 역사성과 특별성을 갖출 수 있도록 철로의 3분의 1을 남겨 산책로를 만들었다. 지역별로 정원을 비롯해 각종 의자와 수변공간이 배치됐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에 걸쳐 3단계로 진행됐다. 2003년과 비교했을 때 2013년에 가치는 103% 증가(도보 5분 이내)했다. 새로운 일자리는 1만2000여 개가 창출됐다.

공원이 생기면서 프랭크 게리(Frank Owen Gehry), 장 누벨(Jean Nouvel), 시게루 반(Ban Shigeru) 등 유명 건축가들의 빌딩과 렌조 피아노(Renzo Piano)가 설계한 휘트니 미술관이 들어서는 등 주변 부동산 개발 및 상권이 활발해지고 각종 문화시설 유입도 이뤄졌다.

프랑스 코드다쥐르에는 프롬나드 빠이용(Promenade du Paillon)이 있다. 프랑스 유명 해변도시인 니스 빠이용 강 상부 도로복개구간에 있던 소규모 공연장과 시외버스 터미널 등을 철거한 자리에 들어섰다. 약 12만600㎡ 면적에 2011~2013년 공사기간을 거쳤다.

공원은 횡단하는 도로를 기준으로 마세나 광장 앞 분수대, 어른들이 산책과 휴식을 즐기는 숲, 어린이들의 놀이공간 등 3개 구역으로 나눴다. 어린이 놀이시설은 지역의 특성을 살려 거대 해양생물 모형으로 만들어졌다. 시민들에게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계하는 편리한 이동통로와 도심 속 거대 녹지공간이 제공됐다.

2018년 완공을 앞둔 뉴욕의 로우라인(Low Line Park)은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이다. 맨해튼 로어 이스트 사이드(Lower East Side) 지하에 방치돼 있는 폐기된 트롤리터미널을 탈바꿈시켰다.

녹지공간 조성을 바라는 3300명의 시민이 15만 달러를 기부했다. 태양광을 내부에 인공적으로 끌어들이는 최첨단 기술이 접목됐다. 쓰임새가 제한적인 지하 폐공간의 활용으로 경제와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필라델피아 북부지역에 자리한 리딩 비아덕트(Reading Viaduct)는 곧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폐 철로를 지역주민과 일부 관심있는 시민들이 선형 공원으로 변화시킬 것을 제안한 게 출발점이다.

공공장소로의 재생비용이 510만 달러 규모로 철거 때보다 10배 가량 적게 소요돼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2003년 첫 지역주민 회의를 연 뒤 12년 만에 첫 삽을 뜰 것으로 보인다.
 

  [Low Lin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