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이라고 다 똑같지 않다...시내 면세점 쟁탈전 본격 돌입

2015-01-20 00:00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시내 면세점 전쟁에 불이 붙었다.

정부가 지난 18일 '7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통해 올해 초 서울 3개, 제주 1개 등 4개 시내 면세점 추가 특허를 7~ 8월에 공모해 하반기 중 사업자를 선정한다고 발표하면서다.

서울은 일반경쟁을 통해 2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경쟁으로 1개를 추가한다.

일반경쟁을 통해서는 동아시아 경쟁국들의 면세점과 경쟁할 수 있는 대규모 면세점을 도입할 계획이다.

제주는 기존 면세점이 대기업인 점을 고려해 제한경쟁 방식을 택했다. 제한경쟁 입찰은 중소기업법 상 중소·중견기업에 해당하며 자본금이 1조원 이하인 기업들만 참여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대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서울 시내 면세점 2곳은 혈투가 벌어질 전망이다.

롯데·신라 면세점 등 기존 업체들은 관세청의 추가 조항을 목놓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독과점 규제를 막기 위해 정부가 현재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자의 경우 입찰을 제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와 한화는 입찰 참여를 기정사실화했다. 워커힐면세점을 운영 중인 SK네트웍스도 입찰 참여를 적극 검토 중이며, 현대산업개발(현대아이파크몰)은 이미 출사표를 던졌다.

이처럼 대기업들이 시내 면세점에 눈독 들이는 것은 인천공항면세점과 달리 과도한 임대료 부담이 없고 관광객 수요가 풍부해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내부에 위치한 롯데면세점 본점의 경우 지난해 국내 유통업계 1위 매장(연간 판매액 기준)에 올랐다. 롯데면세점 본점의 판매액은 지난해 1조 9000억원을 기록, 1조 8000억원대의 롯데백화점 본점을 추월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는 중소·중견 기업에게 배분된 1개 점포를 어느 기업이 차지할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컨소시엄 형태로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진 하나투어는 서울 시내 면세점도 검토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무역협회 등이 지분투자를 통해 면세점 사업에 뛰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그럴 경우 사회적 여론 등으로 정부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며 "추후 확정되는 관세청 공고를 기다려봐야 입찰에 나서는 기업들이 가시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인천항에 면세점을 운영 중인 엔타스면세점과 지방에서 시내 면세점을 운영중인 기업들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방의 많은 시내 면세점은 위치적인 제약으로 손님이 없어 상당 부분 손해를 보고 있다"며 "지방 운영 경험을 토대로 서울에 진출해 수익을 낼 수 있지 않겠냐"고 전망했다.

하지만 중소기업이 서울 시내 면세점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많다. 면세점은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이 높은 사업이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3300㎡의 면세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테리어, 물품 구입 및 재고 관리, 물류 및 전산 구축 등 초기 투자비가 최소 420억원이 소요된다.

실제 지난 2012~2013년 정부는 중소기업에 12개의 시내 면세점 허가를 내줬으나 서희건설, 전남 로케트 전기 등 4곳이 허가권을 스스로 반납했고, 아산K 등 일부는 관세청으로부터 허가권을 취소당한 바 있다.

한편, 제한 경쟁 방식으로 이뤄질 제주 지역 1개 점포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 제주관광공사(JTO)가 이미 정부의 확정 발표전부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