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형 생활주택 합동 안전점검…진화 설비 우수하나 완강기 설치 미흡

2015-01-16 15:09

16일 도시형 생활주택 안전점검에 나선 강병호 한국소방기술사회 회장이 건물 내부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가리키고 있다.[사진=박성준 기자]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 사고가 잇따르자 서울시가 안전점검에 나섰다.

16일 서울시 공무원과 소방방재 전문가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안전점검을 위해 강서구 방화동을 향했다. 화재점검의 대상이 된 건물은 지난 2012년 7월 20일 SH공사에서 준공한 1인 가구 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이다. 건물의 규모는 지하 3층, 지상 13층으로 이뤄졌으며 모두 75가구가 거주하고 있었다.

앞서 의정부 사고에서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차 진입에 애를 먹었지만 이번 건물은 소방차의 접근이 보다 용이했으며 비상시 탈출을 위한 특별피난 계단도 1곳이 마련됐다. 또한 화재시 옥상으로 대피하면 자동방화문이 연기를 차단해 안전한 구조를 기다릴 수 있었다.

이날 점검에는 건물 내 소화시설의 설치여부와 비상통로의 이동 여부를 주로 둘러봤다. 점검단은 우선 옥상으로 올라가는 통로를 점검하고 옥상과 내부를 연결하는 방화문의 상태를 살펴봤다. 다만 화재시 방화문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보다 철저한 관리 시스템이 요구됐다.

점검단은 옥상에 이어 건물 내부의 구조도 살펴봤다. 복도 구석에는 화재시 연기를 배출해주는 제연설비가 설치돼 있었다. 방 내부 천장에는 4개의 스프링클러와 가스감지기 등이 설치돼 초기 화재 진압을 대비했다.

이날 화재 점검에 동행한 강병호 한국소방기술사회 회장은 “열감지기에서 신호를 감지하면 펌프가 돌면서 바로 물이 공급된다”라며 “이 스프링클러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하나가 95%의 소화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 회장은 “방화관리자는 항상 스프링클러의 작동여부를 점검해야 하며 스프링클러 하나가 커버하는 면적을 봤을 때 이쪽은 잘 배치가 됐다”고 덧붙였다.

주택 내부의 소화시설은 초기 화재진압에 적합하도록 설치됐으나 최악의 상황을 위한 탈출시 완강기 등의 설치미비는 아쉬움으로 남았다. 또한 입주민의 경제적 이유로 건물 내 소화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화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문제점도 뒤따랐다.

점검을 마치며 강 회장은 “앞으로 화재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식이 바뀔 필요가 있다”며 “방화관리자를 보다 전문적으로 육성하고 채용해서 건물의 규모를 따지지 말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지난 2009년 정부가 전월세난으로 인한 소규모가구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했다. 하지만 인허가상 절차가 간소하고 건물 간 이격거리 등 법적 요건이 부실해 안전 위험성이 남았다.

1월 현재 서울의 도시형 생활주택은 총 8만 1347가구며 시는 이달 말까지 SH공사가 지은 1714세대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서울시 양용택 임대주택과장은 "1714세대 뿐 아니라 나머지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해서도 순차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발견될 시 시정조치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