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탄소배출권거래제 실시 앞두고 '전전긍긍'

2014-11-16 12:25

아주경제 김지나‧박현준‧이소현 기자= 산업계가 내년 1월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앞두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철강‧정유 등 탄소 배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업종 내 기업들 중심으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실시되면 기업 재무구조가 악화될 것이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탄소정보시스템 구축 등 대책 마련 고심
탄소 배출권 거래제란 각 기업이 일정량의 탄소 배출권을 할당받고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해야 하면 시장에서 배출권을 사서 배출하는 제도다.

1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3년 전부터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에 참여해 탄소 배출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또 어느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는 쇳물이 나올 때 발생하는 질소,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를 재활용해 자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와 관련된 세부 규칙 등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 불리한 부분을 정부 측에 이의제기 하기 위해서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간접 배출에 대한 이중규제, 조기감축 실적이 100% 인정이 되지 않는 부분 등 세부적인 시행 규칙에 대한 불합리한 부분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의제기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유사 중 에쓰오일은 작년부터 신규 투자를 검토할 때 탄소 비용을 고려해 투자 관련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투자 관리 절차를 개정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전략적인 탄소 경영 체계를 수립했다"며 "중장기 온실가스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단계적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자업계에서 LG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전사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사업장의 에너지 진단을 강화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당초 탄소 배출권 거래제와 함께 시행하기로 한 저탄소차 협력금 제도가 2020년으로 연기되며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업 재무구조 악화 우려…준비는 '글쎄'
하지만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시행이 2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 기업별 배출양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각 사별로 구체적 대책은 아직 마련돼 있지 못 한 실정이다.

환경부는 지난 9월 업종별로 탄소 배출 총량을 정해 각 협회에 전달했다.

이것은 업종 전체에 대한 탄소 배출량으로 업종 내 각 회사별 탄소 배출양은 11월 말 환경부가 다시 각 사에 전달하게 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탄소 배출량이 얼마나 될 지 아직 알지 못하는 상황에 구체적으로 수지 타산에 맞는 계획을 마련하긴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귀띔했다.

삼성전자 관계자 역시 "탄소 배출 할당량이 업종별로는 나왔지만 아직 세분화되지 않아 업체별로 할당량이 나오면 그에 맞춰 준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에 특히 탄소 배출권 거래제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철강·정유사 등은 거래제 실시로 재무구조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탄소 배출량을 할당받고 그 양이 적을 경우 탄소 배출권을 추가적으로 사들이거나 과징금을 물어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탄소 배출권 컨설팅을 하고 있는 한 업체 대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실시로 철강 및 정유사 등의 내년도 재무제표는 많이 망가질 것"이라며 "정유사는 어느 정도 실규 설비가 갖춰졌지만 철강사는 그렇지 못 해 그 타격은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