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LNG선의 산실

2014-09-22 16:01

아주경제 (옥포)김지나 기자= 22일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대우조선해양의 옥포조선소.

부산 김해공항에서 1시간여 동안 차를 타고 달려와 거가대교를 지나자 초가을 햇살이 내리쬐는 은빛 바다 위에 조선소에서 건조하고 있는 배들이 한 눈에 들어왔다.

조선소의 상징으로 불리는 골리앗 크레인과 일반 크레인이 뒤섞여 부지런히 제 할일을 하고 있는 모습, 오밀조밀하게 모여 있는 공장 사이로 자전거 페달을 밟으며 이동하는 대우조선해양 직원의 모습, 수변 위에 둥둥 떠 있는 선박들.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건조중인 LNG선. 지난 2월 10일 진수를 마친 이 선박은 23일 선주에게 인도된다. [사진=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주변 도로에서도 바쁘게 돌아가는 조선소 안 모습을 충분히 엿볼 수 있었다.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는 거제도 바다를 바라보며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야드의 크기만 여의도 땅의 1.5배인 약 500만 제곱미터(㎡)에 달해 야드 끝에서 끝까지 걸으면 1시간 반 가량이 걸린다.

옥포조선소는 한국 조선 산업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현장이다.

1970년대 조선 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지정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전신인 대한조선공사가 출범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야드 안은 하나의 소도시라고 생각하면 된다"며 "병원 및 소방서, 셔틀버스 등이 갖춰져 있고, 대우조선해양 및 협력사 직원 4만여 명이 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옥포조선소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고부가가치 상선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다.

23일 그리스인 선주에게 인도될 예정인 LNG선에 올라서자 직원들이 막바지 작업에 한창이었다.

이 LNG선은 길이 294미터(m), 폭 44m, 높이 26m로 축구장 3개를 더한 크기다. 배 한척을 만드는 데 투입된 인력은 하루 평균 200여 명이다.

지난 2월 10일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물 위에 띄우는 진수를 마쳤고, 그로부터 7개월 만에 배가 완성돼 선박 주인에게 인도되는 것이다.

선박에 올라서고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붉은색 페인트가 칠해진 파이프라인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모습이었다.
 

LNG선 선박 위. 배 인도를 하루 앞두고 대우조선해양 직원들이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아주경제 김지나 기자]


LNG선의 핵심 기술은 LNG를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저장 탱크다.

육상터미널에서 액화시킨 LNG는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LNG선 저장 창고로 보내진다.

LNG가 기화되지 않고 액체 상태로 보관되기 위해선 탱크 안 온도가 마이너스 163도로 유지돼야 하는 데, 이 때 LNG선이 고부가가치 선박이라 일컬어질 만한 핵심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홍기성 대우조선해양 상선CM1 부장은 "LNG를 마이너스 163도 저장탱크에 액체로 보관할 경우 부피가 600분의 1로 줄어 더 많은 양의 LNG를 운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액화된 LPG를 운반할 때 배가 출렁거리면 가스가 발생한다"며 "이 증발 가스를 모아 엔진으로 돌려 다시 쓸 수 있도록 배가 설계돼 있다"고 덧붙였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LNG선 생산에 있어 가장 큰 강점으로 타사 대비 빠른 납기를 뽑았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100여 척이 넘는 LNG선을 수주해 생산할 수 있었던 이유도 높은 기술력으로 선주들이 만족할만한 빠른 납기를 채우며 고객들에게 신뢰를 쌓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조용관 대우조선해양 LNGC 전문위원은 "대우조선해양은 LNG선 멤브레인 타입 탱크 공사를 할 때 평균 약 7개월이 걸린다"며 "타사 대비 짧은 기한으로 선주들에게 납기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