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셔 연준 부의장, ‘글로벌 장기침체’ 우려...저금리 기조 지속 전망

2014-08-12 11:24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스탠리 피셔 부의장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가
                                                   장기침체 국면을 맞을 수 있다며 경고했다. [사진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홈페이지]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2인자로 불리는 스탠리 피셔 부의장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경제가 장기하강 국면에 접어들었을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11일(현지시각) 피셔 부의장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스웨덴 재무부 컨퍼런스′에 참석해 글로벌 경제의 회복이 “실망스럽다”면서 “경기 회복을 위한 통화정책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 피셔 부의장은 "미국의 장기적 성장이 연율 2%에 그칠 전망"이라고 전제한 뒤 고령화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율 하락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투자도 시원치 않으며 부동산시장 또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점 등이 성장세를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단기·장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 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면서 연준의 저금리 통화정책 또한 장기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최근 63% 밑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는 1978년 이후 최저치다. 생산성은 40년 평균치인 1.5%를 하회하는 1% 수준으로 떨어졌고 고용시장 참여율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며 1978년 이래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

그는 또 연준이 3차례의 ‘양적완화’를 통해 풀어낸 4조 달러 이상의 막대한 유동성도 단기금리 운용을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에 대처하려면 먼저 거시 신중 정책과 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리조정을 포함한 통화정책은 마지막 수단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셔 부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경제가 만성적 수요부진에 따른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힌 로렌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의 견해와도 일치하는 대목으로, 이는 연준이 저금리 기조를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날 피셔 부의장의 발언에 조기금리인상 우려가 완화되면서 주식 시장은 상승세를 연출하기도 했다.

한편, 연준은 앞서 지난달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고용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상태라면서 초저금리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오는 9월 16일부터 열리는 차기 FOMC에서 연준은 자산매입 규모를 100억 달러 축소하고, 연방기금목표금리를 0~0.25%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월로 예상되는 양적완화 종료 이후 첫 금리인상 시기는 내년 중순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