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 도입 이후 대출 취급규모·승인률↑

2014-07-02 06:00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지난달 말 기준 국내 7개 은행의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 도입 이후 신규대출 취급규모가 확대되고 대출승인률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농협·외환·광주·경남 등 7개 은행이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을 도입한 이후 신규대출 취급규모가 월평균 917억원으로 모형 도입 이전 859억원 대비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저신용자를 제외한 일반 차주의 신용대출은 정체 또는 감소된 모습을 보였다.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승인률 역시 평균 73.4%로 모형 도입 이전 69.7% 대비 3.7%포인트 상승했다.

저신용자 신규대출 평균금리도 하락했다. 도입 이후 평균 대출금리는 9.04%로 도입 이전 9.79%에 비해 0.75%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기존 신용평가모형이 저신용자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저신용자가 은행 대출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금감원과 국내 은행들은 저신용자에 특화된 신용평가모형 개발을 추진해왔다.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은 저신용자의 신용도를 보다 세분·차별화하기 위해 소득 및 연체관련 평가비중을 축소하는 대신 다중채무 등 대출관련 평가비중을 확대했다.

지난해 8월부터 신한은행을 시작으로 현재 7개 은행이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 도입을 완료했으며 이를 토대로 저신용자 대출을 실행하고 있다. 국민·신한·하나·농협은행은 저신용자 평가항목 및 배점 등을 달리 적용한 자체 모형을 구축했다. 외환·광주·경남은행은 기존 모형을 통해 자체 산출하는 등급 외에 신용평가사(CB사)의 평가등급을 추가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금감원은 기타 11개 은행 중 모형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수협·한국씨티·한국스탠다드차타드·부산·대구·전북 등 6개 은행에 대해서는 지난 4~5월 중 회의를 통해 연내 모형 도입을 완료하도록 지도했다. 현재 각 은행별로 모형 구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은 금감원 지도 전에 개선된 모형을 도입했으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제주은행은 저신용자 대출을 취급하지 않거나 미미해 지도대상에서 제외됐다.

금감원은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을 운용 중인 은행 외에 기타 은행도 모형을 조속히 개발하도록 독려하고 실제 저신용자 대출에 적극 활용돼 서민금융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대출 취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