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김문수 경기지사 취임후 추진 본격화
2014-06-22 19:06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22일 세계유산에 등재된 남한산성은 문화재보호법이 제정·시행되면서 1963년 1월21일 사적 제57호로 지정돼 오늘에 이른다. 남한산성은 '비상시 산성도시'라는 점을 앞세워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가 향유하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한국의 11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세계유산 어떻게 추진됐나=남한산성을 세계유산에 등재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있었지만 6월 말로 임기 만료하는 김문수 경기지사가 취임하면서 본격화했다.
2011년 2월, 문화재위원회가 선정한 '세계유산 우선 추진 대상'에 선정되기에 이르렀다. 등재신청서 작성(2011.1월∼2013.1월)과 등재추진위원회 경기도 조례 공포(2012.4월), 등재추진위원회 발족과 관련 기관 간 업무협약(MOU) 체결(2012.6월) 등을 거쳐 지난해 1월에는 마침내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 제출되기에 이르렀다.
"한국이 제시한 체계적인 보존·복원 틀에 따라 유산의 전반적인 보존 상태가 좋으며 보존 정책도 효과적이지만 이런 정책이 때로는 지나쳐서 행궁의 완전한 복원(total reconstruction)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 유산 관리는 남한산성사업단 체제 아래서 적절히 이루어지지만 그 절차가 복잡하고 관련 기관 숫자가 많으므로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남한산성사업단이 지닌 조정(coordination)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특히 남한산성 안에 거주하는 시민의 적극적인 보존관리 참여가 필요하고 건기 화재예방과 관광객 수 증가에 대한 특별한 주의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본성 미정비구간(제1남옹성)도 같은 기간에 발굴조사를 거쳐 정비한다. 성벽이 단절된 동문 주변(산성 진입로)에 대한 형상화 작업도 한다.
학술조사와 고증에 기반을 둔 남한산성의 역사성 회복 차원에서 축조 당시 모습을 잘 간직한 외성에 대해서는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학술연구를 추진한다. 또 남한산성 일부를 구성하는 지역이지만 군부대와 중계기 설치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고 상당 부분이 훼손된 '신남성'은 사적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이에 이번 등재를 계기로 경기도를 비롯한 해당 지자체와 문화재청은 정비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정비 기본 방향을 '남한산성의 역사적 의미 회복과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보전을 위한 체계적인 보존·관리 체계 마련'으로 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