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세대별 투표율에 기댄 야권, 압승에 실패한 까닭
2014-06-05 17:07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4년 전보다 높아진 투표율(56.8%)에도 불구하고 6·4 지방선거에서 ‘절반의 승리’에 그친 새정치민주연합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세월호 심판론이 활활 타오른 가운데 치러진 지방선거에서조차 야권이 예상 밖의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2016년 의회권력 교체와 2017년 정권교체 초석을 마련하는 데 실패했다.
당초 새정치연합 내부에선 세월호 심판론과 세대별 투표율이 맞물릴 경우 야권이 압승한 2010년 6·2 지방선거의 재판이 재연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결과는 광역자치단체 17곳 중 9곳 승리, 8곳 패배. 단순 수치상 야권이 한 곳을 더 선점하면서 우위를 점했지만, 수도권 3곳 가운데 경기(김진표)와 인천(남경필)에서 각각 새누리당에 자리를 내주면서 사실상 패배라는 지적이 나온다.
새정련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5일 자신의 트위터에 “광주의 전략공천, 당력의 광주 집중으로 경기·인천 등지에서 효과적인 지원을 못한 게 패인”이라고 당 지도부를 질타했다.
이로써 새정련은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 국면에서 치러진 19대 총선과 범야권단일화를 이뤄낸 18대 대선에 이어 또다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지 못함에 따라 향후 선거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문제는 야권이 ‘정권 심판론’과 ‘세대별 투표율’ 이외에 중도층을 공략할 수 있는 플러스알파를 마련할 수 있느냐다.
심판론은 선거 때마다 야권이 쓰는 낡은 선거전략이다. 정부 심판의 당위성과는 별개로 유권자들에게는 상당히 피로한 이슈라는 얘기다.
또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진화된 선거운동이 선보인 2010년 6·2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세대별 투표는 야권의 필승전략 중 하나였다.
하지만 야권은 이명박 정부 심판론으로 나선 2012년 총선도 세대별 투표율에 기대를 건 대선도 모두 참패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정권 심판론은 외연 확장의 한계, 세대별 투표율은 고령화된 유권자 구성으로 각각 제힘을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6·4 지방선거의 유권자 수는 4129만6228명으로 4년 전 3885만1159명보다 244만5069명(6.3%)이 늘어났다.
눈여겨볼 대목은 50대 이상의 증가폭은 늘어난 반면, 30대 이하의 유권자 수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50대 이상은 1709만명으로 4년 전보다 285만 명이 증가했다. 전체 유권자 대비 36.7%에서 41.4%로 높아진 셈이다. 40대도 같은 기간 871만명에서 897만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1590만명에서 1524만명으로 66만명이 줄었다. 전체 유권자 대비 40.9%에 달하던 유권자 구성비가 36.9%로 낮아진 것이다.
고령층의 유권자 비율 증가가 결과론적으로 한국 선거의 보수화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는 분석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유권자 구성비와 관련해 “전체적으로 고령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야권으로선 쉽지 않은 선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이 4년 전 지방선거 당시 중도층을 공략하는 데 주효했던 친환경무상급식 등과 같이 정책의 정치이슈화를 통해 외연을 확장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