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기 근절하자"…금융권, 대포통장과의 전쟁

2014-04-09 11:26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금융당국과 일부 금융사들이 대포통장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지난해부터 신·변종 금융사기가 늘면서 대포통장 발급 및 유통이 확산되자 금융당국이 대포통장 근절에 나선 것이다.

금융사들도 대포통장 발급 비중 상위권의 오명을 벗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대포통장 발급처 비중은 농협단위조합이 40.3%로 가장 높았고, 농협은행이 20.8%로 뒤를 이었다.

이어 △우체국 14.9% △새마을금고 8.6% △우리은행 3% △신한은행 2.9% △국민은행 2.1% △하나은행 1.7% △기업은행 1.4% △외환은행 0.6% 순이다.

대포통장 발급이 계속 늘자 금감원은 지난달 대포통장 근절 방안을 발표했다. 계좌 개설절차를 △신청서 접수 △실명확인 △전산등록 △발행·교부 등 4단계로 구분하고, 주요 의심사례 등을 유형별로 마련해 각 은행에 통보하기로 한 것이다.

또 의심거래로 판단되면 추가 증빙자료를 요청하거나 계좌 개설 목적, 신원 확인 절차 등을 거쳐 통장발급 여부를 판단하도록 했다. 자료제출을 거부하거나 대포통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계좌개설이 거절된다.

금감원은 또 대포통장 발급비중이 높은 금융사에 대해선 2분기 중 정밀 실태점검을 실시한다.

대포통장이 많이 발급된 농협은행은 대포통장과의 전쟁 태스크포스 상황실을 운영하기로 했다. 전 영업점의 신규 계좌 및 의심 계좌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의심이 가는 경우 즉각 계좌를 지급정지한다.

전국 영업점에 입출금통장 개설 전용창구를 운영해, 팀장 이상 책임자가 거래목적 및 증빙서류를 직접 확인하고 통장개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입출금통장 개설 시 금융거래목적확인서와 증빙서류를 요구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역시 대포통장 근절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1월 전체 금융권 대포통장에서 새마을금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3.3%였다. 이후 같은해 9월(11.4%)까지 계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지난 2월 현재 3.6%까지 대폭 낮추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