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 1∼2mm 움직임도 잡아내" 아리랑5호 발사성공

2013-08-23 08:00
"구름이 꼈을 때나 밤에도 관측이 가능"

다목적실용위성 5호(아리랑 5호) 개발을 총지휘한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아리랑5호 사업단장)은 23일 “아리랑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SAR)는 지하철 공사 시 땅을 팔 때처럼굉장히 미세한 수준인 1∼2㎜ 정도의 작은 움직임도 다 잡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소장은 이날 아리랑5호가 대전 항우연 내 지상국과 첫 교신을 완료, 발사 성공이 최종 확인된 뒤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영상레이더가탑재된 다목적실용위성 5호가 지금까지 광학 위성이 하지 못 했던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리랑5호는 마이크로파를 지상에 쏘아 반사돼 돌아온 신호를 합성해 영상을 만든다. 이 때문에 구름이 꼈을 때나 밤에 관측이 어려운 기존 광학영상위성(아리랑2·3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홍수·가뭄, 산불, 지진·지반 침하, 해양 기름 유출 등 국가 재난 재해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도 가능하게 됐다.
다음은 이 소장과 일문일답.

-- 발사 성공 소감은.   △ 오랫동안 기다렸던 일이 이뤄져서 개인적으로 무척 기쁘다. 특히 지금까지 함께 했던 동료 연구원 등 많은 분들에게 기본 도리를 한 것 같다.

-- 향후 아리랑5호의 역할은.
△ 이번 위성도 다른 다목적실용위성과 마찬가지로 지구를 관측하는 위성이다.
지금까지 광학을 통해 얻는 정보와 다른 정보를 얻게 되어 실생활 등에 많은 기여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체적인 위성 활용 계획은.   △ 다목적 실용위성을 흔히 전천후 위성이라고 한다. 전천후가 의미하는 것은 간단하게 말하면 구름이 끼거나 밤에도 영상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겠지만 실제로 고해상도, 광역으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수 년 전 서해안에서 기름이 유출된 사건같은 경우 관측 폭 100㎞의 광대역으로 찍으면 활용할 수 있다. 또 광학 위성보다 굉장히 미세한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지하철 공사 때 땅을 판다거나 할 때 굉장히미세한 수준이 1~2㎜ 정도의 작은 움직임도 다 잡아낼 수 있다. 영상레이더가 탑재된 위성이 지금까지 광학위성이 하지 못한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위성 개발하는 데 걸린 기간은.
△ 실제 구체적으로 사업화가 돼서 착수된 것은 2005년 6월이다. 만 8년이 넘었다. 실제로 그 중 2년 정도는 억울하지만 발사가 지연되면서 밀린 거다. 그래도 다른 위성과 비교해 지나치게 긴 것은 아니다. 통상 위성을 새로 개발할 때 5년 정도 잡는다. 아리랑2·3호도 실제로 많이 지연됐다. 위성 개발을 하다 보니 까다롭고 정교한 기술이 있어 그렇게 되는 것 같다. 러시아 기술진은 농담처럼 “연기한 것은 다잊어버리지만, 실패한 것은 잊어버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 8년동안 가장 아쉬웠던 순간은.
△ (발사가 지연된) 지난 2년이 굉장히 어려웠다. 항우연 안팎으로 비판을 많이받았다. 심지어 계약을 잘못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러시아 발사체 개발사인) 코스모트라스와 관계를 보면 서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계약이었다. 우리 예산이 부족한 것을 코스모트라스 측에서 감안해 준 부분이 있다. 덕분에 계약을 하면서 40억원 가량을 깎았다. 그러다 우리도 코스모트라스 측도 어려워지면서 (발사가) 지연됐다. 발사체 드네프르가 경쟁력이 있다. 올 하반기 과학기술위성 3호를, 내년에는 아리랑3A호를 한 묶음으로 보고 있다. 드네프르는 1984년 11월에 만들었다. 이번 위성까지 18번 중 17번 상업 발사에 성공했다. 러시아가 일반 서방 세계보다 투명성이 부족하다. 이번처럼 발사 영상도 직접 못 보고 발사대가 못 가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드네프르는 믿을 만한 발사체다.

-- 우리 위성을 다른 나라 발사체에 맡기는 것이 아쉽다는 의견이 있다,△ 우리나라 발사를 백번이고 천번이고 원한다. 다만 발사체는 시간과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정부에서 전략적으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이 결정돼 있다.

-- 항우연의 위성 개발 계획은.
△ 항우연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라 정부의 계획을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다목적실험위성 시리즈는 지속할 계획이다. 하지만 개발비가 2천500억∼3천억원이다.
개발 기간이 많이 걸리는 데다 기타 공공 수요를 활용하기에 너무 비싼 위성이다.
현재 500㎏급 차세대 중형 위성을 생각하고 있다. 우리 기술로 개발해서 기간도 단축하고 비용도 줄이고자 한다. 운이 좋으면 내년에 착수도 가능하다. 현재는 2018년(개발을) 시작하는 것으로 돼 있다.

-- 아리랑5호의 임무연한은 왜 5년인가△ 다목적궤도위성은 한 바퀴 돌 때마다 밤낮, 즉 충·방전이 계속 바뀐다. 하루 14바퀴 방을 돌기 때문에 1년에 5천번 가량 충·방전한다. 위성은 고칠 수 없으므로 보수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