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기 부추기는 외신에 강력 반박

2008-10-09 09:21


정부가 한국의 금융위기 가능성을 거론하는 해외 언론의 보도에 대응해 즉각 해명자료를 내는 등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9일 '한국의 은행들 과거 실수 망각'이라는 제하의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기사에 대해 해명자료를 통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8일자에서 한국의 은행들이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달러를 빌려서 원화로 대출했고 원화가 하락하자 위기를 맞게 됐다며 작년 말 기준 한국 은행들의 단기외화차입금은 450억 달러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6월 말 현재 은행의 원화대출금은 873조원으로 저축예금(250조원), 정기예금(364조원), 양도성예금증서(129조원), 은행채(230조원) 등 주로 원화자금으로 대부분 조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게다가 6월 말 기준 은행의 외화부채는 2천362억 달러, 외화자산은 2천277억 달러로 부채와 자산이 엇비슷한 수준이며 외화로 조달한 자금은 대부분 외화(96.4%)로 운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도 전날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한국계 은행에 지급불능 징후가 있다고 밝혔다는 다우존스의 보도는 오보라며 해명자료를 통해 밝혔다.

   재정부는 "피치가 해당 기사와 관련 다우존스의 한국어 번역이 잘못됐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도 7일 아시아에서 금융위기에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한국을 꼽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를 강력 반박했다.

   FT는 한국은 기업과 은행, 가계가 모두 과도한 레버리지(차입) 상태로 아시아에서 금융위기의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라고 보도했다.

   금감원은 FT의 주장과 달리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은 1997년 425%에서 작년 107%로 4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고 기업부문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은 97년 1.2배에서 작년 4.1배로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7월 말 현재 일반은행의 예대율(CD포함)은 105.4%로 은행 부문의 건전성에도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작년 말 기준 가계부문의 금융부채 대비 가처분소득 비율은 148%로 미국(139%), 일본(117%)보다 높은 것이 사실이나 한국 가계의 금융자산은 주요국에 비해 예금, 현금 등 유동성 자산비중이 높아 채무상환재원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금감원은 강조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최근 해외 언론이 근거 없이 위기를 부추기는 경우가 있다"며 "정확한 사실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잘못된 보도에 해명자료를 내고 필요시 정정보도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