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4'에 따르면 2020년 기준 40대 인구의 미혼자 비율은 남성이 23.6%, 여성이 11.9%였다. 이는 2000년에 비해 각각 6.7배, 5.7배 증가한 규모다.
미혼자 비율은 2000년 이후 20년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남성의 경우 미혼자가 결혼 경험이 있는 유배우자보다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낮았지만 여성의 경우 미혼자의 대졸자 비율과 고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2008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조사에서 19~34세 미혼자는 유배우자에 비해 결혼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낮았고 비전통적인 가족 형성과 가사분담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19~34세 미혼자의 결혼의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고 개인의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결혼을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2000년 이후 인구의 수도권 집중 가속화에도 합계출산율 감소는 지방보다 수도권에서 더 빠르고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인구에서 수도권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50.7%로 절반을 넘어섰고 2020년에는 인천을 제외환 모든 광역시 인구가 5년 전보다 1.7~3.2% 감소했다.
지역별 합계출산율은 2000년 수도권 시의 경우 1.65명이었으나 2023년 0.78명으로 0.87명이 줄었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시에서는 1.61명에서 0.88명으로 0.73명이 줄면서 비수도권보다 수도권 지역의 출산율 감소가 더 빠르게 진행됐다.
수도권 인구 증가는 지역 간 인구이동에 따른 것으로 비수도권으로부터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지역 간 인구불균형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 총 이동자 수 중 20~30대 이동자는 44.9%로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연령대별로 이동 특징(목적지)이 다르게 나타났다.
20~24세의 경우 대학 진학 등 학업의 이유로 수도권, 부산, 대전으로의 순유입이 많았다. 이어 25~29세는 학업이 직업으로 이행되면서 수도권, 세종, 충북, 충남 순으로 순유입이 많았고 30~34세는 혼인과 출산에 따른 주택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서울은 순유출, 전남은 순유입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35~39세는 직장, 주거 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서울은 대규모 순유출이, 이외 시도는 순유입으로 변화하거나 순유출 규모가 완화하는 경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