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송탄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가 가시화되고 있다. 한강유역환경청이 지난 19일 ‘평택시 일반수도사업 변경인가’를 고시했기 때문이다. 이번 한강유역환경청의 일반수도사업 변경 승인은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직전 단계의 행정 절차다. 환경부는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수도정비계획 변경도 승인했다.
이는 지난 4월 평택시와 국토교통부, 환경부,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상생협력 협약을 맺은 것에 근거한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한 첫 번째 행정 절차였다. 그리고 이번에 인가를 고시, 최소한 당초 예상보다 3~4개월 앞당겨 올해 안에 해제될 전망이다.
송탄 상수원 보호구역은 평택 진위면과 용인 남사읍 일대 3.8㎢ 규모다. 지난 1979년 지정된 후 45년간 유지돼 왔다. 따라서 그동안 용인 안성과 갈등의 골은 매우 깊어졌다. 용인시가 재산권 불이익을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줄기차게 요구해서다. 반면 평택시는 취수원 부족을 이유로 해제 반대 기조를 지켜왔다.
거기에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따른 평택호 수질 악화에 대한 우려도 반대 입장에 포함돼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이러는 사이 지난해 8월 정부가 이동·남사읍 일대 728만㎡를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했다. 하지만 산단 예정지의 9%에 해당하는 140만㎡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포함돼 개발의 발목을 잡을 처지가 됐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송탄 상수원 해제 문제가 시급한 해결 현안으로 떠올랐다. 그러자 정장선 시장이 나섰다. 지방자치단체 간 상생 해법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마냥 보호구역으로 묶어둘 수 없는 상황이 도래했다고 판단도 한 몫 했다. 거기다 반도체와 관련해서는 평택시와도 무관치 않고 상생 발전을 통해 평택의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복안도 작용했다.
정 시장은 곧바로 TF를 구성해 1년여간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전문가‧환경단체‧시민 등 각계각층의 여론을 수렴했다. 정 시장은 이를 바탕으로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로 시 방침을 최종적으로 결정해 지난 4월 협약을 끌어냈다. 물론 과정은 쉽지 않았다.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로 송탄, 유천정수장이 폐쇄되면 원활한 용수 공급이 어렵다는 점과 평택호 수질 보존 또한 힘들다는 문제점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정 시장은 이 또한 특유의 뚝심과 끈기로 해결했다.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환경부 경기도를 수십차례 방문, 설득과 협의를 통해 정부 지원 등 굵직한 해결 방안을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실제 지난 4월 협약서에도 그 결과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평택호 수질 개선을 위한 중점관리저수지, 수질 자동측정소 2개소, 수질정화습지 등 수질 보전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관계기관별 협력 사항이 명시되어서다.
수질 개선 분야 이외에도 협약서에는 ‘용수확보’ 및 ‘지역개발’과 관련된 사항도 포함됐다. 우선 용수확보와 관련해서는 향후 발생할 평택시 생활용수 부족분 확보 및 수도시설 건립비와 개선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면서 용인산단 7년 건설 기간을 3년으로 단축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런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송탄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가 앞당겨진다는 소식에 지역 주민들도 기대가 높다.
호혜공생(互惠共生:서로 도우며 함께 삶) 하려는 정 시장의 열린 마음이 다시금 회자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 아닌가 싶다. 정 시장의 통 큰 결정이 용인 국가산단, 용인 일반산단은 물론 평택 고덕산단 등을 중심으로 622조 원 투자가 활발해지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돼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