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인공지능(AI) 등 미래 기술을 접목한 성장 모델 마련을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조선업 경쟁력, 항만 규모, 선복량 등 해양 분야에 충분한 하드 파워를 갖춘 우리나라도 블루 이코노미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13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등에 따르면 블루 이코노미는 2012년 6월 브라질에서 열린 유엔(UN) 지속가능개발회의에서 처음 언급됐다. 당초 해양 기반 개발과 환경 보호를 결합한 개념이었으나 최근에는 해양 중심의 신기술이 더해진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성장 전략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블루 이코노미를 전면에 내세운 범정부 차원의 전략이 부재하다. 다만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수립한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에서 해양수산 과학기술 대전환을 통한 '블루 이코노미 구축'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해수부가 공들이고 있는 자율운항선박이 대표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1603억원을 들여 국가해사기구(IMO)의 자율화 레벨3 기준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IMO는 자율운항선박 수준을 총 4단계로 나눠 정의하고 있는데 레벨3은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원격제어가 가능한 수준을 말한다.
지난 9월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시스템을 장착한 컨테이너선 실증에 나섰던 정부는 앞으로 1년 동안 한국∼동남아시아 항로를 운항하며 지능 항해와 기관 자동화 등 기술을 실증할 예정이다.
국가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항만 확충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 항만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화물 처리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물류 흐름을 최적화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히 운영되는 항만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수출입 화물 99.8%가 항만을 통해 처리되고 있어 '한국형 스마트 항만' 구축이 필수적이다. 지난 4월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 부두인 부산 신항 7부두가 개장한 데 이어 2040년까지 완전 자동화 방식을 적용한 스마트 항만이 완성된다. 부산항 진해신항과 광양항 자동화 테스트 베드(시험대)도 진행되고 있다.
미래 먹거리 확보로 새로운 수출 아이템 발굴을 위한 첨단 양식 시스템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해수부는 '어촌형 기획발전특구'를 도입하고 양식 산업의 스마트·디지털화로 수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이상기후 여파로 양식업계를 위기로 내몰고 있는 고수온 피해 역시 스마트 양식 기술로 줄일 수 있다. 올해에는 최장기간 고수온 특보로 양식 폐사 규모와 피해액이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를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우수한 양식업과 조선업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적 자원·기술 등이 우수하다"며 "앞으로 이 같은 강점과 기회 요인을 반영해 우리만의 특색 있는 블루 이코노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