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회장은 30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2024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에서 "저는 30년 이상 에너지 사업을 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탄소중립을 '하기 싫은 것'이 아닌, 미래 산업이 우리에게 주는 기회 중 하나로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
최 회장은 "에너지는 누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고, 우리는 룰을 만드는 게 아닌 룰을 받는 존재"라며 "이걸 바꿔야 하는데 탄소중립은 오히려 산업을 바꿀 수 있고 에너지를 무기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AI디지털센터의 경우 에너지가 추가로 많이 들어가서 기후에는 나쁜 시그널이지만, AI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전환해야 한다"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지금의 탄소문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새로운 인센티브를 만드는 것"이라며 "페널티를 물리는 규제 형태의 인센티브는 마치 숙제처럼 강제성을 갖고 있어 퀄리티가 좋지 않다. 자율화, 시장화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사전적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이는 탄소를 줄이는데 어느정도 이바지했는지 알 수가 없다"며 "이제는 사후적으로 분명하게 탄소감축 결과치를 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지원을 주는 식의 인센티브제도가 필요하다. 쉽게 말하면 탄소를 많이 줄이면 그만큼 크레딧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최 회장은 "사후적 지원체계가 잘 만들어진다면, 에너지 감축문제는 더는 숙제가 아니라 우리가 살길이고 앞으로도 대한민국이 에너지 강국이 되는 길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 같은 논의가 계속되고 발전돼서 탄소감축에 대한 새로운 해법이 나오길 기대하며, 대한상의는 앞으로도 이런 세미나를 계속 주최할 것"이라고 했다.